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코오롱인더스트리, 수소 연료전지 부품 대표기업 비전 제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수분제어장치 2025년 글로벌 점유율 50% 목표로 기술 업그레이드

쿠키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쿠키뉴스] 임중권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는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오늘부터 3일까지 열리는 '2020수소모빌리티+쇼'에 참여해 글로벌 수소 연료전지 핵심 소재,부품 대표 기업을 향한 비전을 제시한다고 1일 밝혔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전시회에서 수분제어장치(Membrane Humidifier)와 막전극 접합체(Membrane Electrode Assembly, MEA), 고분자 전해질막(Polymer Electrolyte Membrane, PEM) 등 수소 연료전지 부품의 기술개발 동향과 양산화 전략을 발표하고 차세대 핵심 소재 후보인 탄화수소계 고분자 전해질막 개발 현황을 소개한다.

수소 연료전지 주변기계장치(Balance of Plant)의 핵심 부품인 수분제어장치는 코오롱인더스트리㈜가 31년간 축적한 멤브레인 설계,제조 관련 기술을 바탕으로 한다. 세계적으로도 극소수 업체만 생산기술을 보유 중이며, 코오롱인더스트리㈜가 가장 큰 규모의 생산설비를 보유한 것은 물론 매년 증설,투자해 국내외에서 독보적 우위를 확보해가고 있다.

2013년 현대자동차와 협력개발해 세계 최초로 수분제어장치를 상용화한 데 이어, 2025년 이후 세계시장 점유율 50% 이상을 목표로 글로벌 기업들과 협력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MEA의 경우 회사가 축적한 필름 후가공 기술과 융합한 응용분야별,개발단계별 제품 설계기술도 확보해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파일럿 설비를 서울 마곡 연구단지에 구축했다. 2014년 개발을 착수한 뒤로 국내외 핵심 연구설비와 특허를 도입하는 등 기술확보에 매진했던 결과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현재 국내 및 중국 연료전지 시장 진입을 위해 구동용,건물용 MEA를 개발해 고객 인증절차를 진행중이며,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생산설비 투자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의 MEA는 부품 생산 과정 중 가장 높은 원가비중을 차지하는 핵심 소재 PEM을 내재화할 수 있는 점 또한 강점이다.

회사는 MEA 개발에 앞서 2008년부터 PEM 개발에 나서,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강화복합막 원천기술을 보유 중이다. 지금은 자체 기술로 파일럿 스케일의 PEM 제조설비를 구축한 가운데 장기 내구성을 향상시켜 차별화 기술을 확보하는 데 집중하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는 향후 수소 연료전지 핵심 소재의 통합 솔루션을 제공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수소전기차 뿐 아니라 주택,건물용, 드론, 중장비, 기차, 선박 등 단계적 시장 확장에 나서고 있다.

코오롱인더스트리㈜ 연료전지사업담당 이무석 상무는 '수소산업 생태계에서의 소재부품 산업의 새로운 기회가 있다'고 강조하며 '당사가 보유한 핵심 소재 기술을 활용해 수소 연료전지 뿐 아니라 수전해 분야까지 사업 확장을 추진하겠다'고 수소산업에서의 중장기 사업전략을 밝혔다.

im9181@kukinews.com

쿠키뉴스 임중권 im9181@kukinews.com
저작권자 © 쿠키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