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19 (일)

[단독] 서울대 해외서 제대로 평가 못받아…재정 1조늘려 톱10 경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 서울대 사업 지주회사 설립 ◆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대가 4차 산업혁명, 인구 변화, 양극화 등 새로운 도전에 대처할 동력을 얻기 위해서 '국립대학 법인 서울대학교 재정립특별위원회'(가칭)를 설치해 임기 내에 서울대 법인화법 개정을 추진하겠습니다." 2년 전 오세정 총장이 서울대 총장 최종 후보로 선출된 직후 매일경제에 밝힌 구상이다.

오 총장이 서울대를 이끈 지 약 1년5개월이 된 상황에서 그가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던 '서울대학교 법인재정립위원회'가 1년간 논의한 결과물을 내놓았다. 핵심은 재정 확충과 수익성 강화에 있다. 그 수단으로 재정립위원회는 사업 지주회사인 'SNU홀딩스'(가칭) 설립을 제안했다. 우선 재정립위원회는 서울대가 2011년 12월 법인화한 이후 10년이 다 됐지만 아직 재정자립도가 낮은 편이라고 진단했다. 실제로 최근 5년간 서울대 법인회계 세입·세출 예산서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 총수입은 적게는 7844억원, 많게는 8634억원 수준으로 이 가운데 정부 출연금 비중이 54.8~58%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익사업으로 얻는 수입은 매년 1000억원 수준으로 전체 수입 중 13~14.6%에 불과했다. 이에 재정립위원회는 "법인화 이후 서울대가 국립대학으로서 출연금을 지원받으면서 수익사업을 통한 자체 예산 확보가 가능해졌다"면서도 "출연금과 수익사업은 불확실성이 존재한다"고 전제한 뒤 재정 확충 핵심 방안으로 SNU홀딩스 설립을 제안했다.

매일경제

이에 따라 향후 10년간 서울대의 예산 비중에도 큰 변화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금은 출연금·등록금·수익사업 비중이 60대26대14이지만 앞으로 이 비율을 50대25대25로 조정해야 한다는 것이다. SNU홀딩스가 다양한 수익사업을 펼쳐 지금보다 2배 이상의 수익을 거둬야 달성 가능한 목표다.

서울대 본부도 재정 확충과 수익사업 강화 필요성에 공감하고 있다. 특히 해외 경쟁 대학에 비해 작은 재정 규모로 인해 국민이 바라는 세계적인 대학으로 가기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는 것이다. 서울대가 분석한 비교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서울대의 총재정은 1조5000억원으로 도쿄대(2조1020억원), 싱가포르국립대(2조7245억원), UC버클리대(3조4586억원) 등에 미치지 못한다.

재정립위원회는 이 같은 현실 속에서 SNU홀딩스 지주사를 중심으로 수익사업을 확대한다면 재정 규모가 커져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주사에서 돈을 벌어 서울대 법인에 다시 이전하는 형태다. 재원 확충 방법으로는 특허활용 벤처 투자, 공개강좌, 글로벌 교육사업 등이 있다. 오 총장은 물론 재정립위원회도 재정이 충분하지 않은 상황에서는 교육·연구의 질을 높여 글로벌 톱10 대학에 진입하는 건 불가능한 일이라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교내 최고 정책 제안기구인 평의원회가 제안한 '창업대학원(SEI)' 설립에도 '변하지 않으면 추락한다'는 절박함이 반영됐다. 오 총장은 이날 매일경제와 전화 통화하면서 "서울대가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대학은 아직 못 됐다"며 "가만히 있어서는 안 되며 지속적으로 변해야 선도 대학이 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재정립위원회는 총 5000억원 규모인 서울대 발전기금 수익률을 제고하기 위한 전략적 자산운용 방안도 제시했다. 이와 관련해 서울대는 올해부터 2025년까지 6년간 삼성자산운용을 발전기금 위탁운용기관(OCIO)으로 선정해 기금 투자를 맡기기로 했다. 5000억원 중 실제 투자 재원은 2000억원 수준인 것으로 알려졌다.

재정립위원회는 보고서를 통해 "저금리 시대에는 중위험·고수익 구조로 변경할 필요가 있다"며 "기본재산 보존의무를 고려해 연 3.5~4% 수준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오 총장은 "위원회에서 제안이 있었지만 SNU홀딩스 설립이 최종 확정되지는 않았다"며 조심스러운 입장을 밝혔다.

[박윤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