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이슈 정치계 막말과 단식

"이낙연, 점잖은 막말"...통합당 이어 정의당도 '성차별' 비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박지혜 기자] “남자는 엄마 경험을 하지 못해 철이 안 든다”는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말에 미래통합당은 물론 정의당까지 사과를 촉구했다.

조혜민 정의당 대변인은 1일 브리핑에서 “이 의원이 출생과 육아에 대해 차별적 발언을 일삼았다”며 “출생을 경험한 여성을 우대하는 척하면서 출생과 육아의 책임을 여성에게 모두 전가하며 아빠로서의 역할, 책임, 경험을 경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고 지적했다.

또 “출생을 하지 않기로 하거나 난임인 부부 등 다양한 형태의 삶 역시 배제 시킨 발언임이 명백하다”며 “산후조리를 대접과 배려로 생각했다는 것도 실망스럽기 그지없다”고 비판했다.

이어 “그러나 여성들은 사회적인 편견 등으로 인해 제대로 된 산후조리의 시간을 갖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라며 “여성들의 삶에 조금만 관심을 가졌다면 ‘점잖은 막말’을 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혹시라도 의도하지 않았다거나, 뭐가 문제인지 몰랐다는 말은 핑계에 불과하다”며 이 의원의 진심 어린 사과와 성찰을 촉구했다.

이데일리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국난극복위원장이 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 주최로 열린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한민국 재도약의 길’에서 강연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합당도 김은혜 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출산을 하지 않으면 철이 없는 것인가”라며 “비혼이거나 난임 부부에 대해서는 공감도, 배려도 없는 차가운 분인 건지 다시 보게 된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여성만을 출산 육아의 책임을 진 존재로 몰고 아버지의 역할을 폄하했다”며 “산후조리를 욕망이나 로망으로 표현하는 것은 생명에 대한 몰이해라서 더 유감”이라고 강조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국회 지구촌보건복지포럼 주최 ‘코로나19 사태 이후, 대한민국 재도약의 길’ 강연에서 한국의 산후조리시스템이 새로운 한류로 도약할 것이라고 언급하며 “인생에서 가장 크고 감동적인 변화는 소녀가 엄마로 변하는 순간”이라며 “남자들은 그런 걸 경험하지 못하기 때문에 나이 먹어도 철이 안 든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다음 한류는 산후조리에서 나온다. 가만히 생각해보니 이해가 간다”며 “중국 중산층 산모들의 로망 중 하나가 강남에서 산후조리 받는 것”이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감동적인 변화의 순간을 배려받으면서 겪고 싶다는 건 지극히 당연한 욕구”라며 “중국의 부자 산모는 서울에 와서 아이를 낳고 2~3주 산후조리를 받고 간다고 한다”고도 했다.

이를 두고 이 의원이 한국의 선진 산후조리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발언이었지만 부적절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비혼 여성이 갈수록 증가하는 상황과 난임 여성, 딩크족(맞벌이를 하면서 자녀를 낳지 않는 부부를 이르는 말) 등을 배려하지 못한 시대착오적 발언이라는 비판이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