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길섶에서] 열차 승차권/이종락 논설위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며칠 전 무궁화호 열차를 탔다. 자동 발매기에서 표를 끊은 뒤 개찰구와 플랫폼을 통과해 지정 좌석에 앉아 서울역에 도착할 때까지 검표 과정을 거치지 않았다. 코레일이 2009년부터 승차권 확인 절차를 폐지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를 방문하는 여행객들이 제일 놀라워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승차권 확인이 없는 열차 여행이다. 외국인도 사전 예약을 한 경우에는 기차역에서 판매되는 승차권조차 필요 없다. 정직하게 승차권을 구입해 지정 좌석에 앉기만 하면 부정 승차를 단속하는 역무원의 눈을 피할 수 있다. 반면 일본의 경우에는 아직도 신칸센이나 특급열차 이용 시 기본요금 승차권 외에 특급권, 지정석 특급권 등이 필요하다. 중국의 경우에도 실명으로 구입한 승차권을 반드시 소지해야 한다. 유럽 열차도 승차할 때마다 역무원에게 유레일패스나 유레일셀렉트패스를 여권과 함께 제시해야 한다. 검표 과정이 없는 우리나라 열차 승차제도는 사람들 간의 상호 신뢰 없이는 불가능하기 때문에 외국인들이 부러워한다. 그런데 코레일 직원 208명이 고객만족도 조사에 끼어들어 결과를 조작해 국토교통부 감사에 적발됐다고 한다. 신뢰받는 제도를 만들었지만 정작 직원들은 신뢰받지 못하는 어처구니없는 상황이다.

jrlee@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