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3 (일)

크리스탈지노믹스, 코로나19 치료제 임상2상 승인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오주연 기자] 크리스탈지노믹스는 세린계 단백질 가수분해효소 억제제인 카모스타트(Camostat)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바이러스 치료제로 개발하기 위한 임상 2상 시험계획서(IND)가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승인됐다고 2일 밝혔다.


이번 임상시험은 코로나19 감염이 확진돼 입원 혹은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한 경증 및 중등증 환자 100명을 대상으로 A그룹(50명)에는 카모스타트를 7일간 경구 투여하면서 최상의 지지요법 치료를 병행하고, B그룹(50명)은 위약(Placebo)을 7일간 경구 투여하면서 최상의 지지요법 치료를 병행해 카모스타트의 효능성과 안전성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국내 감염분야 권위자인 서울아산병원의 김양수 교수가 연구책임자로 이 임상시험을 이끌 예정이다.


임상 배경에는 지난 4월 독일 괴팅겐 라이프니츠 영장류 연구소가 학술지인 '셀(Cell)'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카모스타트에 의한 프로테아제(TMPRSS2)활성 억제가 코로나19바이러스의 세포내 진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함으로써 세포내 감염을 억제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실험 결과에 따르면 카모스타트에 의한 세포 감염억제 50% 농도가1 uM(마이크로몰)이하로 코로나19 항바이러스 후보물질로 알려진 렘데시비르, 하이드록시클로로퀸과 비교해도 수십 배에서 수백 배 낮은 농도다.


또한 2015년 미국 국립보건원 저널에 발표된 SARS-CoV 마우스 동물실험 결과에 따르면 치사량 이상의 바이러스를 감염시킨 후 카모스타트를 투여했을 때 대조군에 비해 생존율이 약60% 상승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크리스탈지노믹스 관계자는 "사스와 코로나19는 아미노산서열이 약 94.6% 유사성을 갖고 있으며, 동일한 세포감염 기전을 공유하는 것으로 연구되어 사스에 효과가 있다면 코로나19에서도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며 "이번 임상을 통해 카모스타트의 코로나19에 대한 효능을 확인한다면 치료제로 신속히 개발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종식을 앞당기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오주연 기자 moon170@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