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부산 어린이집 식중독 환자 36명으로 늘어…11명 입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부산에 있는 한 어린이집에서 발생한 집단 식중독 증상자가 36명으로 늘어났고 입원 환자도 11명으로 증가했다. 부산시 등 보건당국은 지난달 26일 일부 원아들이 식중독 의심증세를 보였지만 신고는 사흘 뒤인 29일 이뤄진 사실을 확인하고 경위를 조사중이다.

2일 부산시에 따르면 부산 연제구 한 어린이집 원생 중 고열·구토·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인원은 전날 34명에서 36명으로 2명 늘었다. 증세가 심해 입원한 원생도 10명에서 11명으로 1명 증가했다. 입원 원생 11명 중에서 3명에게서 식중독을 일으키는 병균 중 하나인 살모넬라균이 검출됐다. 다른 8명은 고열, 구토, 설사 증세를 보이지만 살모넬라균이 검출되지는 않았다. 경기도 안산시에서 15명이 집단 발병한 일명 '햄버거병'의 원인으로 알려진 '용혈성 요독증후군'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보건당국은 어린이집 보존식 5건, 먹는 물, 문 손잡이, 화장실 변기, 칼, 도마, 식판 등에서 검체 15건을 수거해 검사 중이다. 추가로 원생 13명과 조리조사자 1명 등 14명 검체도 채취해 검사를 의뢰했다. 검사 결과는 일주일에서 보름 이후에 나올 것으로 보인다.

원생들이 처음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것은 지난달 26일 자정께다. 26일 등원 전 일부 원아들이 식중독 증세를 보였지만, 학부모들은 경과를 지켜보다가 지난달 29일 연제구 보건소와 부산시 환경위생과에 신고한 것으로 보건당국은 파악했다.

부산시 보건당국 관계자는 "해당 어린이집은 식중독 환자 발생 상황을 제때 신고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고 말했다. 식품위생법은 2명 이상이 식중독 유사 증세를 보이면 지체 없이 보건당국에 신고하도록 규정하고 있으며, 어기면 200만원 이하 과태료 처분을 하게 돼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보존식 등 환경 검체와 유증상자 검사 결과 등이 나오면 식중독 원인을 밝혀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부산시는 7월 한 달간 지역 전체 유치원과 어린이집 등 집단급식소 940곳의 식품 안전을 집중적으로 점검할 계획이다.

[부산 = 박동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