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7 (화)

김종연 교수 “이젠 휴교보다 감염 대응력 높이기 힘써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학교 방역’ 국회 토론회

[경향신문]



경향신문

신규 확진 늘어난 광주…진단검사 기다리는 시민들 광주 지역에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22명 발생한 2일 광주 북구보건소 선별진료소에 진단검사를 받으러 온 시민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떨어져 대기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교내 확진 0명 만들기 어려워
학생만큼 교직원 관리도 중요
“보건인력 충원 시급” 입 모아

“코로나와 함께 살아가는 ‘위드(with) 코로나’ 시대엔 학교에서 확진자가 생길 경우 최대한 대응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전략 변경이 필요하다.”

김종연 경북대 예방의학과 교수는 2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열린 ‘코로나 시대 유·초·중·고 방역대책, 이대로 괜찮은가’ 토론회에서 “학교 안 코로나19 확진자를 0명으로 만드는 건 불가능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최근 대전의 한 초등학교에서 교내 전파가 의심되는 첫 사례가 나온 데다, 광주에서도 확산세가 가팔라지면서 교내 방역 미비에 대한 우려가 다시 대두되는 상황이다. 이날 전국 유·초·중·고 522개교의 등교수업이 중단됐는데, 지난달 2일(534개교) 이후 최다 기록이다. 이 중 대부분인 438개교가 광주에 있다.

김 교수는 이에 대해 “학교를 열지 말지보다 ‘언제 어떻게’ 여는지가 더 중요하다”며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의 위험은 감당하면서 대응 능력을 극대화하는 쪽으로 패러다임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다. 교내에 확진자나 의심자가 발생할 경우에 대비할 수 있는 체계를 정비해야 한다는 취지다.

김 교수는 교사 업무 재배치, 공문 최소화, 보건소 네트워크 강화 등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그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학교 폐쇄에는 “효과적인 억제 전략이긴 하지만 오래 지속하기 불가능하며 이후 더 크게 유행할 위험이 있다”고 우려를 나타냈다.

학생 관리 못지않게 교직원 통제가 중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교직원이 전파의 핵심 연결고리가 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종헌 성균관대 의과대학 사회의학교실 교수가 소개한 호주와 네덜란드 등 해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아이들이 어른이나 같은 또래를 감염시킨 사례는 적은 데 비해 성인이 아이에게 전파한 경우는 다수 있었다. 김종헌 교수는 “학교에서의 코로나 대응지침은 학생 관리에 집중되나, 교직원도 교무실이 아닌 곳에 분산 근무하는 등 물리적(사회적) 거리 두기를 철저히 할 필요가 있다”며 “교직원이 발열 등 호흡기 증상을 보일 경우 학교에 안 나갈 수 있는 여건을 만들어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날 참석자들은 “학교 보건인력 충원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지은숙 전국교직원노동조합 보건위원장은 “전국 교육지원청에는 보건전문직이 전무해 학교 현장을 지원하기가 불가능한 상황”이라며 “대도시를 제외한 보건교사 배치율은 60~70% 수준이며 학교에 단 1명뿐인 보건교사가 학교 방역의 컨트롤타워를 담당하고 있다”고 말했다. 김경희 서울 성동구보건소장은 “교직원들은 각각 본래 업무가 있기 때문에 이들만으론 감염대응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며 “학교 내부 방역소독, 학생 지도 등을 담당할 수 있는 인력이 별도로 필요하다”고 말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은 “대전 등에서 학생 확진자가 나오는 것은 이미 예견됐던 상황”이라며 “점점 감염 경로를 추적하기 어려워지고 있어 유치원·학교에 대한 방역대책이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유은혜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이날 열린 등교수업 준비지원단 회의에서 대전 초등학교 사례가 교내 감염일 가능성과 관련해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현재 교내 감염이 의심되는 이 학교의 학생 2명에 대한 감염경로 등 역학조사를 진행하고 있다.

김서영 기자 westzero@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