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몸이 사람을 만든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몸과 마음 중 한 사람의 정체성을 결정하는 데 더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 어느 쪽일까. ‘형이상학’류의 사고방식에 젖어 온 한국인이라면 필경 ‘몸’의 중요성을 쉽게 간과하고 말 것이다. ‘기억하는 몸’은 몸이야말로 한 사람의 오롯한 특질을 밀도 있게 함축한 데이터이며, 한 사람의 정체성을 말해 주는 중요한 근거라고 주장하는 일종의 ‘관찰’ 에세이다.

책은 총 11부로 이뤄져 있다. 전체를 하나로 꿰는 공통점은 장애인의 시간과 경험, 그리고 기억을 다룬다는 점이다. 각 부의 주인공들은 저마다 실명, 마비 등의 장애가 있다. 선천적인 사람도, 후천적인 사람도 있다. 저자가 관심을 쏟는 부분은 개별적인 신체의 고유성이다. 저자는 각각의 처지와 경험에 초점을 맞춰 그의 인생 속으로 깊이 들어감으로써 무의식적인 습관이나 경험, 기억이 우리의 몸을 어떤 식으로 작동시키고 자기만의 고유성을 만들어 내는지, 그것이 인생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 고찰한다.

장애는 보통 부정적인 것으로 인식된다. 하지만 당사자에게는 어떤 장애를 가진 인간으로서 ‘존재한다’는 의미가 될 수 있다. 장애 자체가 한 사람의 정체성일 수 있다는 뜻이다. 장애가 있는 몸과 더불어 살아가면서 조금이라도 편한 몸을 만들기 위해 분투해 온 기나긴 시간의 축적이야말로 유일무이하면서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그 사람의 정체성이다. 저자가 원하는 건 책이 단순히 ‘과거 어느 시점에 존재한 몸의 기록’으로 비쳐지는 것이 아니다. ‘현자들의 지혜를 기록한 책’으로 읽히길 원한다. 현재를 살아가는 여러 ‘몸’들에게 책에 등장하는 이들의 시간과 기억이 어떤 실마리가 됐으면 좋겠다는 것이다.

손원천 선임기자 angler@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