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국내 대기업 집단 홍콩법인 170곳…미중 갈등에 영향받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SK그룹이 44개로 최다…미래에셋그룹 홍콩 거점 사업 확대에도 변수

CBS노컷뉴스 김선경 기자

노컷뉴스

홍콩 거리 풍경(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자산 5조원 이상인 국내 64개 대기업 집단이 홍콩에 둔 법인이 170곳이고 이중 절반 가량이 상위 10대 그룹의 법인인 것으로 조사됐다. 홍콩보안법을 둘러싼 갈등으로 홍콩이 미중 최대 격전지로 떠오르면서 국내 기업들의 홍콩 법인에도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자산 5조원 이상 대기업 집단 64개를 대상으로 홍콩 법인 현황을 조사한 결과, 총 170곳 중 48.8%인 83곳은 10대 그룹의 법인으로 나타났다고 3일 밝혔다.

64개 대기업 그룹 중 38개 그룹이 홍콩에 법인을 1곳 이상 두고 있다. 그중에서도 홍콩 소재 법인이 10개 이상인 그룹은 SK(44곳), 롯데(18곳), CJ(17곳), 삼성(13곳) 등이다.

네이버는 홍콩 법인 7곳, 효성은 6곳, 코오롱·이랜드·셀트리온·장금상선 그룹 등은 4곳으로 파악됐다. 한진·두산·OCI·아모레퍼시픽은 3곳을, LG·한화·금호아시아나·넷마블·다우키움·유진 그룹 등은 2곳을 두고 있다.

국내 그룹이 홍콩에 둔 법인은 일반 제조·판매업 보다는 투자관리, 특수목적법인(SPC), 기타 금융업 등을 목적으로 세운 것이 다수다.

홍콩 법인이 가장 많은 SK그룹의 경우 44곳 중 30곳이 투자관리, SPC, 금융업 등 회사였다. 롯데도 18곳 중 절반이 금융·관리업종 법인으로 조사됐다.

삼성전자의 경우 삼성전자 미국법인이 운영하는 미국 하만 인터내셔널 인더스트리즈가 독일, 헝가리, 네덜란드에 있는 법인을 거쳐 홍콩에 '하만 홀딩 리미티드'라는 법인을 뒀다. 이 하만 홀딩 리미티드는 중국에 '하만 인터내셔널(차이나) 홀딩스를 뒀고, 이 중국 법인이 다시 중국 내 하만 관련 3개 법인을 뒀다.

64개 그룹 중 금융그룹인 IMM인베스트는 홍콩법인 5곳, 미래에셋은 4곳을 운영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미래에셋그룹은 홍콩을 거점으로 해외 사업 확대를 추진하고 있어 미국의 홍콩 특별지위 박탈이 새로운 변수가 될 가능성이 커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일선 소장은 "미중 갈등이 격화하면 국내 기업이 홍콩에 법인을 둘 유인이 떨어져 장기적으로 다른 국가로 법인을 이전할 수 있다"며 "그렇게 되면 법인 이전 국가와 해외법인 지배구조 등에 큰 변화가 일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