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제약·바이오·재생의료에 내년부터 10년간 2.8조 투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바이오·헬스 산업 육성을 위한 핵심 유망 기술 분야에 내년부터 10년간 총 2조8000억원을 투입하는 대형 정부 사업 계획이 확정됐다. 3일 보건복지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산업통상자원부는 국가 신약 개발 사업, 범부처 재생의료기술 개발 사업 등 2개 범정부 사업이 국가재정법에 따른 예비타당성 조사(2019년 11월~2020년 6월)를 통과했다고 밝혔다.

국가재정법은 총 사업비 500억원 이상의 대규모 신규 국가 연구개발 사업에 대해 과학기술적·경제적 타당성을 조사한 뒤 투자 여부를 판단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이번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두 사업은 지난해 5월 정부가 발표한 '바이오·헬스산업 혁신 전략'에 따른 것이다. 당시 정부는 바이오·헬스산업을 비메모리 반도체, 미래형 자동차와 함께 차세대 주력산업으로 육성시키기로 하고 바이오 분야 정부 연구개발 자금을 연간 2조6000억원에서 2025년까지 4조원으로 늘리겠다고 밝힌 바 있다.

우선 국가 신약 개발 사업은 기초연구에서부터 비임상·임상시험, 제조·생산에 이르기까지 신약 개발에 필요한 단계별 과정을 모든 주기에 걸쳐 지원하는 것이다. 내년부터 10년간 총 2조1758억원 규모(국비 1조4747억원·민자 7011억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다. 이는 복지부 연구개발 사업 중 역대 최대 규모다.

이번 사업은 복지부, 과기정통부, 산자부의 관련 선행 사업들을 통합해 부처별 칸막이 없이 한 사업으로 진행된다. 신약 개발 기반을 확충하기 위해 후보물질(파이프라인) 발굴을 지원하고 임상시험 단계별로 연구비를 지원한다. 일반적으로 국내에서 5000~1만개 신약 후보물질 가운데 최종 임상시험을 통과하는 건 1~2개뿐이고 비임상(동물)시험과 임상시험(1~3상)에는 최소 10년 이상 개발 기간과 1조원 이상의 개발 비용(실패 비용 포함)이 소요된다. 정부는 "이번 지원 사업으로 향후 10년간 연 매출 1조 원 이상의 블록버스터급 국산 신약 개발을 이뤄내는 것이 목표"라고 밝혔다.

범부처 재생의료기술 개발 사업은 손상된 인체세포와 조직을 대체하거나 재생해 정상 기능으로 회복시키는 기술 창출에 주력한다. 세포치료나 유전자치료, 조직공학치료 관련 신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특히 지난해 첨단재생바이오법이 제정된 뒤 오는 8월부터 적용되기 때문에 재생의료 분야 연구개발 여건은 대폭 개선될 전망이다.

이번 예비타당성 평가를 통해 재생의료 분야 전주기 기술 개발 촉진을 목표로 내년부터 10년간 총 5955억원 규모(국비 5423억원·민자 532억원)의 사업 추진 타당성이 인정됐다. 다만 당초 예비타당성 사업 계획에 포함됐던 첨단재생바이오법상 임상연구 제도 지원은 수요 예측과 사업 운영상 차이 등을 고려해 별도 사업으로 추진이 적절하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따라서 이 분야는 내년 예산에 별도 사업으로서 편성·추진된다.

복지부 관계자는 "이번 사업은 지난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범부처 의료기기사업에 이어 바이오·헬스 분야 연구개발 지원의 완결판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지난해 통과한 범부처 전주기 의료기기 연구개발 사업은 올해부터 2025년까지 6년간 1조2000억원원 규모로 진행되고 있다.

다만 정윤택 한국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재생의료 개발에 책정된 6000억원으로는 지원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매년 연차별 성과에 따라 금액을 올릴 필요가 있다"며 "특히 예비타당성 조사를 거친 투자금액이 정작 실행 과정에서 상당 부문 축소됐던 과거 사례에 비춰볼 때 이번 안이 실제 적용될 땐 그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정책적 고려가 이뤄져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진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