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1 (토)

나주 열병합발전 한경평가 9일 발표 내주 발표…한난-주민 촉각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논란을 빚은 나주 열병합발전소 고형연료(SRF) 환경영향평가가 오는 9일 발표된다. 이를 위해 3개월간 시범 운영한 결과 유해물질 배출은 규정 내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주민들은 문제없다는 결과를 납득하기 어렵다며 반발해 갈등이 심화할 것으로 보인다.

열병합발전소는 가연 폐기물을 태운 열로 온수를 만들어 지역에 공급하는 발전소다. 석탄보다 유해성이 낮고 폐기물 매립보다 친환경 방식이어서 일거양득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한국전력은 발전 건설 자회사인 한전KDN을 통해 영광 등지에 신축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정작 한전 본사가 위치한 나주 열병합발전소는 완공 후 3년째 가동 중단 상태다. 이 발전소는 나주·순천·목포 SRF 제조시설에서 나오는 SRF를 공급받기로 협약을 맺고 SRF를 태워 만든 열을 1.6㎞ 떨어진 광주·전남 공동혁신도시에 공급하기로 돼 있었다. 2015년 6월 열병합발전설비에 대한 본격 공사가 시작됐고, 2017년 9월부터는 발전소 시운전도 진행됐다. 하지만 그해 12월 최종 준공돼 본격적인 운영을 앞두고 SRF에 대한 환경 유해성 문제가 불거지며 발전소 가동이 임시 중단됐다.

한국지역난방공사는 더 이상 미루지 않고 이번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투표를 실시해 정상 가동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하지만 나주 주민들은 끝까지 반대한다는 방침이다. 나주 SRF 범시민대책위원회는 "연소 전 단계에서 유해 물질이 위험 수치로 발생했다"면서 "현행법상 문제가 없다는 공사 측 의견을 납득하기 어렵다"고 주장했다.

주민들은 SRF 대신 액화천연가스(LNG) 발전소를 새로 건립할 것을 주장하고 있다. 주민 수용성 단계에서 LNG로 결정되면 난방공사가 이미 지방자치단체에서 SRF를 가져오기로 계약했기 때문에 손해배상을 해야 한다. 기존에 건립한 SRF 열병합발전소 폐기에 따른 매몰 비용도 수백억 원에 달한다.

이번 갈등이 파국을 맞으면 인근 지역 제2차 갈등으로 퍼져나갈 우려가 커진다. SRF 열병합발전소가 가동되지 않으면 인근 지자체들은 소각장을 추가로 건립해야 하기 때문이다. 각종 오염 물질과 미세먼지 배출로 당연히 지역 주민들 반대에 부딪힐 수밖에 없다.

범대위측은 근본적으로 타지역 폐기물을 가져오는 것이 불합리하다는 입장이다. 범대위 측은 "하루 소각량 444톤중에서 나주지역 쓰레기는 3%(13톤)에 불과하다"면서 "나머지 97%의 쓰레기는 광주광역시와 전남 5개시군의 쓰레기"라고 주장했다. 난방공사 측은 "이번 환경영향조사 평가는 주민들이 추천한 전문가도 함께 참여해 투평하게 진행됐다"면서 "남은 과정에서 더 많이 소통하면서 주민투표가 차질없이 치뤄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오찬종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