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부경남에 제2진주의료원 들어선다···공공의료 확충 공론화협의회 합의안 채택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향신문]
홍준표 전 경남지사 시절 폐업한 경남 진주의료원이 공공병원 형태로 신설될 것으로 보인다. 진주의료원이 2013년 폐업한 이후 7년 만이다.

‘서부경남 공공의료 확충 공론화협의회’는 4일 경남 진주 소재 경남도농업기술원에서 공론화 도민참여단 제4차 도민토론회를 열어 그동안 토론과정을 거쳐 만든 합의안을 김경수 경남도지사에게 전달했다.

합의안에는 서부경남 의료현실 진단과 주요 개선과제, 공공병원 신설여부와 신설병원의 기능과 역할 등이 담겼다. 도민참여단은 진주·사천·남해·하동·산청 등 서부경남 5개 시·군 주민 100명으로 구성됐고, 참석자의 95.6%가 합의안에 찬성했다.

경향신문

김경수 경남도지사(오늘쪽에서 네번째)가 지난 4일 경남도농업기술원에서 열린 ‘서부경남 공공의료 확충 공론화 도민참여단 제4차 도민 토론회’에서 장충남 남해군수, 윤상기 하동군수 등과 함께 ‘서부경남 공공의료 미래 100년 우리가 만듭니다’고 적힌 피켓을 들고 있다.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들은 지난달 13일 첫 토론회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4차례 토론회를 거치면서 “서부경남은 의료 접근성 및 응급의료 시스템이 부족해 공공의료 확충이 필요하다”고 의견을 모았다.

이들은 의료시설 확충을 위해 공공병원 설립이 절실하고, 신설 공공병원은 24시간 응급체계를 갖춰야 한다고 밝혔다. 시민참여 감시시스템으로 투명성이 확보되고 감염병 등 국가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병원이 필요하다는 입장도 나타냈다.

5개 시·군과 도민참여단이 추천한 공공병원 후보지로는 진주시 옛 예하초등학교, 남해군 남해대교 노량 주차장, 하동군 진교면 진교리 산27-1 등 3곳이다.

김경수 경남도지사는 이날 토론회에서 “어떤 정치적 변화나 새로운 사람이 오더라도 도민참여단의 결정을 절대 뒤집지 못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권한 없는 자의 위법한 결정’이라는 진주의료원 폐업에 대한 대법원의 판결을 소개하며 “우리나라 최초 도립의료원인 진주의료원이 문을 닫은 것은 지역 공공의료가 무너지는 것 뿐 아니라 대한민국 역사 한 페이지가 사라진 것”이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공론화 과정은 새로운 미래 100년의 서부권 공공의료체계를 구축하는 작업”이라고 평가했다.

김 지사는 “도민참여단의 논의과정과 오늘의 합의문은 새로운 역사의 시작”이라며 “여러분과의 약속을 꼭 지키겠다는 다짐을 다시 한번 드린다”고 강조했다.

경남도는 이에따라 도민참여단이 압축한 3곳의 후보지 중 1곳을 선정해 공공병원을 설립할 것에 관해 보건복지부와 협의할 방침이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해 11월 바표한 지역 의료강화 대책에서 거창·통영권권과 진주권을 공공병원 신축 대상지로 선정했다. 거창·통영권은 적십자병원의 이전 신축이 결정됐다.

공론화운영위는 이달 중 제7차 운영위 회의 및 제2차 협의회를 개최해 경남도에 정책 권고안을 정식으로 제안한 뒤 공론화 과정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백승목 기자 smbaek@kyunghyang.com

▶ 장도리 | 그림마당 보기
▶ 경향 유튜브 구독▶ 경향 페이스북 구독

©경향신문(www.khan.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