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서울시 '청년월세' 목표치 7배 신청 몰려…9월 첫 지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최동현 기자] 서울시가 청년의 공정한 출발선 정책의 하나로 올해부터 시작하는 '서울 청년월세지원'에 3만4201명의 신청자가 몰렸다. 이는 당초 시가 밝힌 지원규모 약 5000명보다 7배 많은 것으로 주거비 부담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들이 큰 관심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시는 지난달 16일부터 29일까지 접수받은 서울 청년월세지원 결과를 6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접수한 청년들의 평균소득은 131만6000원, 평균 월세 지출액은 37만3000원이었다. 보증금은 1000만원 이하가 70.8%였다. 신청자의 절반 가까이 단독·다가구주택에 거주하고 있었고 5명 중 1명은 ‘무직’이었다. 청년밀집지역이자 서울시내 고시원 최대밀집지인 관악구(19.2%)에서 가장 많은 신청자가 나왔다.


신청 접수는 크게 2개 부문으로 나눠서 이뤄졌다. 지원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120% 이하 청년 1인가구를 대상으로 ‘일반청년(4000명)'은 3만1942명이 신청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으로 실직했거나 소득이 25% 이상 감소한 청년(1000명) 부문에 2259명이 신청했다. 전체 신청자는 총 3만4201명이다.


여성 신청자(62.3%)가 남성보다 더 많고, 연령대는 30세 이하(80.9%)가 다수를 차지했다.


직업군으로는 사무직(25.5%)이 가장 많았고 이어서 무직(19.3%), 학생(17.6%), 판매·영업·서비스(16.5%), 전문·자유직(15.4%) 순으로 신청했다.


서울 지역에서 고시원이 가장 많이 위치한 관악구에서 6472명(19.2%)으로 최다 신청했다. 이어서 광진구(6.6%), 동작구(6.3%), 마포구(5.7%), 성북구(5.3%) 순이었다.


기준중위소득 120%이하 청년1인 가구 대상인 신청자 평균 소득은 131만6000원이며, 평균 임차보증금은 1437만7000원, 월세는 37만3000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번 신청 접수건은 자격요건 확인 및 소득재산, 유사사업 중복수혜 여부 등을 조사해 8월 중 지원대상을 선정하고 9월부터 최장 10개월 간 월 20만원(생애 1회)이 지원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서울시는 청년들이 독립과정에서 겪는 주거비 부담을 최소화해 주거안정을 이룰 수 있도록 오는 11월 정책포럼을 통해 청년월세 지원기준을 마련하고 2021년 지원 대상을 2만여명으로 확대 시행할 계획"이라며 "주거실태 및 설문 분석결과를 토대로 사업 참여 청년의 주거 수준이 향상될 수 있도록 연계 지원 사업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최동현 기자 nell@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