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경기도형 '공공배달앱' 구축 탄력…우선협상자에 NHN페이코 선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아시아경제

이재명 경기도지사(왼쪽 두번째)가 지난 4월 공공배달앱을 성공적으로 개발한 전북 군산시를 방문, 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수원)=이영규 기자] 경기도가 공공배달앱 구축사업 우선협상대상자로 'NHN페이코 컨소시엄'을 선정했다.


경기도 산하 코리아경기도주식회사는 도민의 생활 편의 증진 및 플랫폼 노동자와 소상공인의 권익 보호를 위해 추진하는 '공공배달앱 구축사업'(가칭) 우선협상자로 NHN페이코 컨소시엄이 최종 선정됐다고 6일 밝혔다


컨소시엄에는 ▲배달앱(먹깨비) ▲배달대행(생각대로ㆍ바로고ㆍ부릉 등) ▲POS(포스뱅크ㆍ이지포스 등) ▲프렌차이즈(BBQㆍ죠스떡볶이ㆍCUㆍGSㆍ세븐일레븐 등) ▲협회(한국외식중앙회 등) 등이 참여한다.


페이코는 간편결제인 페이코(PAYCO)를 운영하고 있으며 모바일 주문결제인 페이코오더는 모바일을 활용해 주문과 결제를 한 번에 제공하는 오프라인 간편 결제 솔루션이다. 쿠폰서비스, 식권, 승차권 등으로 서비스 분야를 확대하고 있다.


이번 컨소시엄에 참여한 포스뱅크ㆍ이지포스 등은 각 물류솔루션(배달 및 배송)과 POS 솔루션에 전문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공공배달앱 개발에 있어 가맹점의 주문처리와 배달부분의 자동화를 지원할 계획이다.


또 배달 중계사인 먹깨비, 배달대행사인 생각대로ㆍ바로고 등은 컨소시엄에 참여하여 공공배달앱의 신속한 배달과 원활한 주문 시스템을 구축하게 된다. 아울러 한국외식중앙회는 소상공인들의 편익 증진을 위해 노력하게 된다.


NHN페이코 컨소시엄은 제안을 통해 지역경제를 활성화를 위해 지역화페, 착한결제를 기반으로 한 지역 기반 커뮤니티 역할로서 공공배달앱의 방향을 제시했다. 특히 페이코의 인프라와 영업망을 적극적으로 투자해 보다 안정적이고 편의성이 강화된 공공배달앱 서비스를 도민에게 제공하겠다고 약속했다.


경기도주식회사와 NHN페이코 컨소시엄은 시범 지역 공모에 참여한 지방자치단체를 선정해 오는 9월 이후 베타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석훈 경기도주식회사 대표는 "최근 배달의민족 사태로 인해 소상공인과 경기도민을 비롯해 국민들의 공공배달앱 개발에 대한 관심이 그 어느때보다 크다"며 "만족도 높은 공공배달앱이 개발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영규 기자 fortune@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