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4 (화)

특허청, 日수출규제 후 '소재·부품·장비' 핵심특허 72건 창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업부와 지식재산권 기반 민·관 정책협의회

뉴스1

특허청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6일 한국지식재산센터(서울 강남구) 대회의실에서 지식재산 정책과 산업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지식재산권 기반의 산업정책 수립을 위한 민·관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전ㆍ충남=뉴스1) 박찬수 기자 = 특허청은 산업통상자원부와 함께 6일 한국지식재산센터(서울 강남구) 대회의실에서 지식재산 정책과 산업 정책의 연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지식재산권 기반의 산업정책 수립을 위한 민·관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일본의 수출규제 후 1년이 지난 시점을 맞아 소재·부품·장비(소부장) 분야에서 특허정보를 활용한 기술개발 성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다.

특허청은 지난해 일본 수출규제와 기술패권 경쟁에 대응해 ‘지식재산 기반의 기술자립 및 산업경쟁력 강화 대책’을 마련했고, 특허 빅데이터를 분석해 특허장벽 대응전략 및 R&D 방향을 제시하는 등 소부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산업부와 함께 노력해왔다.

특허청과 산업부의 협업으로 20대 품목 등 소부장 핵심품목에 대해 핵심특허 72건을 창출했고, 중소기업 특허 분석 지원을 통해 R&D 기간을 평균 6개월 단축시키는 성과도 있었다.

특허청은 지난 6월 개소한 ‘특허 빅데이터 센터’를 활용해 2019년 반도체, 차세대전지 등 5개 업종에 대한 특허 분석을 수행한데 이어 올해는 미래자동차, 드론 등 새로운 5개 업종에 대해 특허를 분석할 예정이며, 산업부는 이를 정책 수립에 적극 활용하게 된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4차 산업혁명이 더욱 가속화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혁신적인 지식재산 선점에 기반한 초격차(뛰어넘을 수 없는 엄청난 차이) 전략이 필요하다”며 “특허청과 산업부, 그리고 기업이 힘을 합쳐 혁신의 DNA를 발현시킨다면 현재의 위기를 혁신성장의 기회로 바꿀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pcs4200@hanmail.net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