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탄소산업의 메카 전북'…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 지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탄소법 개정, 국가산단 승인에 이은 ‘탄소 수도’ 3대 요소 완성

탄소섬유 소재 자립화 등 가치사슬 완성…국가경쟁력 상승 기대

뉴스1

전북이 6일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지정됐다. 특구는 전주시 친환경 첨단 복합 일반산업단지 등 176.62㎢에 달한다.(전북도 제공)2020.7.6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북=뉴스1) 유승훈 기자 = ‘탄소산업의 메카’ 전북이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로 최종 지정되면서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탄소 수도’로 자리잡게 됐다.

전북은 국가 차원의 탄소산업 추진 근거인 ‘탄소소재법’ 개정과 국가 산단 지정·승인, 규제자유특구 지정 등 3대 요소를 모두 갖춤에 따라 한국 탄소산업의 국가경쟁력 상승을 주도할 밑그림을 완성했다.

전북도는 6일 정세균 국무총리가 주재한 제3차 규제자유특구위원회에서 ‘전북 탄소융복합산업 규제자유특구’가 최종 지정 결정됐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전북은 Δ탄소복합재 보강재 적용 소형선박 실증 Δ고압 대용량 탄소복합재 수소운송시스템 실증 Δ탄소복합재 경량 소화수 탱크 소방특장차 실증 등 3개 사업을 올해부터 2024년까지 4년 간 추진한다.

3개 사업은 전주시, 군산시, 완주군 등 3개 지역 15개 실증구역에서 이뤄진다. 일진복합소재(주) 등 10개 기업과 한국탄소융합기술원 등 6개 기관이 함께 참여한다.

이들 실증사업에는 ㈜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에서 생산하는 국내기술 제작 탄소섬유만이 사용된다. 이는 국산 탄소섬유 소재 자립화와 전북 탄소산업 가치·국가경쟁력 향상을 의미한다.

아울러 이번 규제자유특구 사업을 통해 중간재 생산의 타 시·도 중견기업을 유치할 수 있는 토대도 마련됐다는 평가다. 특구 내 ‘소재생산-중간재-부품(복합재)-완제품’으로 이어지는 산업 생태계 구축도 가능해졌다.

뉴스1

지난 2019년 8월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주)효성첨단소재 전주공장 탄소섬유 신규 투자 협약식 모습. /© 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특구 지정은 탄소소재 국산화 가치사슬 완성과 함께 국산 탄소섬유 사용 증가로 이어져 국내 시장 50% 이상 점유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된다.

참여기업들은 현재 총 1740억원의 시설 투자를 계획 중이다. 이에 따른 경제적 효과는 3637억원, 1168명(직접 386명)의 고용창출 효과도 예상된다.

이번 특구 지정은 한국탄소융합기술원 전북 유치(지정)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타 지역과의 경쟁에서 우위를 확보한 셈이다.

송하진 전북지사는 “이번 규제자유특구 지정은 지난 15년의 세월 동안 지역에서 씨를 뿌려 육성한 탄소 산업이 국가적으로 매우 중요한 전략산업이 됐음을 국가가 인정했다는 의미를 갖는다”고 평가했다.

송 지사는 “탄소융복합 소재 응용제품에 대한 충분한 실증을 통해 탄소산업의 생태계를 강화하고 친환경자동차, 수소산업 등 전방산업으로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며 “전북이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탄소산업 수도로서 국내외 탄소시장을 주도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9125i1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