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시설 재가동하자 코로나 재확산…‘공장이 위험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신문

자동차 공장의 모습-로이터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각국이 코로나19로 중단했던 경제 활동을 재개한 후 재가동한 공장들이 코로나19의 ‘핫스폿’이 되고 있다. 경제활동의 한 축인 생산을 위해서는 공장 가동이 필수적이지만, 밀집된 환경 등 감염에 취약할 수밖에 없어 공장발(發) 재확산의 우려가 곳곳에서 제기된다.

코로나19로 글로벌 주요 완성차 업계의 공장가동률이 30%에도 이르지 못한 상황이지만, 자동차 업계에서는 전면적인 생산 재개에 반대한 목소리가 나온다. 6일(현지시간) 미국 자동차전문매체들에 따르면 전미자동차노조 텍사스 지부가 미국 텍사스주 알링턴의 GM공장에 대한 임시 폐쇄를 요청했다. 이달 초 일일 8000명 이상의 신규 확진자가 발생하는 등 텍사스의 코로나19 확산세가 좀처럼 잡히지 않는 상황에서 공장 내 감염을 우려해 생산 중단을 요구한 것이다. 대형 SUV를 생산하는 이 공장에서는 지난 5월 이후 22건의 코로나19 확진 사례가 발생했는데, 7월 현재까지 정확한 확진자 수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이날 일터로 돌아가기를 꺼려하는 미국 델라웨어주 가금류 공장 근로자들의 사례를 소개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가축의 도축·공정·유통을 다루는 식육제관업 등을 필수적 사업장으로 규정하며 이들 공장의 활동 재개를 밀어붙이고 있지만, 정작 근로자들은 코로나19 감염을 우려해 복귀를 두려워하고 있다. WP는 미 델마버 지역에서 지난 두 달 동안 최소 2215명의 가금류 공장 근로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됐으며, 이가운데 최소 17명이 사망했다고 전했다.

습하고 사람 간 거리두기가 어려운 환경으로 바이러스 번식에 취약한 육류공장에서의 집단감염 사례는 세계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다. 북아프리카 모로코는 지난 5일 하루 사이 698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는데, 대부분 항구도시 사피의 통조림 공장 근로자들이었다. 독일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주인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주 일부 지역과 영국 중부도시 레스터 등도 육류 가공공장에서의 재확산 사례가 발생한 바 있다.

안석 기자 sartori@seoul.co.kr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