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과 협업 강화 LG전자… LG디스플레이 애플·화웨이 집중 ‘각자도생’
LG전자가 TV에 이어 세계 첫 롤러블(화면이 둘둘 말리는)폰을 개발 중이며, 이달 중 첫 시제품을 생산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권봉석 LG전자 사장의 ‘봉’을 따 이른바 ‘B 프로젝트’로 알려진 롤러블폰 연구·개발에는 LG디스플레이가 아닌 중국 최대 디스플레이업체 BOE가 협업 중인 것으로 알려져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9일 업계를 종합하면, LG전자(066570)는 롤러블폰 관련 상표권을 출원하고, 이르면 내년 초 완제품 공개를 목표로 시제품 생산 등을 준비하고 있다. 롤러블폰을 구현할 수 있는 핵심 부품인 디스플레이 개발에는 BOE가 머리를 맞대고 있다고 한다.
업계에서는 경쟁사인 삼성전자·화웨이 등이 내놓은 폴더블(화면이 접히는)폰을 출시하지 못한 LG전자가 새로운 폼팩터(형태) 롤러블폰을 선제적으로 출시해 반전을 꾀할 수 있을 지 주목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롤러블폰이 출시된다더라도 출하량이 많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에 상징적인 의미가 더 크다"며 "‘아픈 손가락’ 같은 스마트폰 사업에서도 LG 기술력을 알릴 수 있는 ‘회심의 카드’가 될 수 있는 것"이라고 했다. 권 사장은 지난 1월 세계 최대 IT·가전 박람회 ‘CES 2020’에서 스마트폰 사업을 내년 흑자 전환할 것이라는 포부를 재확인한 바 있다.
LG전자가 TV에 이어 세계 첫 롤러블폰을 개발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사진은 2016년 CES에서 LG디스플레이가 공개한 롤러블 OLED. /LG디스플레이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다만 LG전자가 반격 카드의 파트너로 세계 첫 롤러블TV를 만들었던 주역인 LG디스플레이(034220)가 아닌 BOE를 선택한 것은 의외라는 반응도 있다. 문대규 순천향대 디스플레이신소재공학과 교수는 "롤러블과 현재 나와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힐 때 원이 굽은 정도(곡률 반경)가 좁냐, 넓냐의 차이일 뿐 기술적 구현 난도는 비슷하다"면서 "두 가지를 구현할 수 있는 플렉서블(휘어지는) 디스플레이는 현재 OLED(유기발광다이오드)밖에 없고, BOE 역시 기술력이 있어 개발 자체는 가능할 것"이라고 했다.
한 업계 관계자는 다만 "BOE는 스마트폰 OLED 기술력은 있지만, 수율(완제품 비율)이 좋은 편이 아닌데다 롤러블폰의 경우 충격이 잦아 내구성이 더 좋아야 하기 때문에 상용화까지 가는 데 LG가 어느 정도 애로사항이 있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TV용 대형 OLED 시장에서는 독점 공급자인 LG디스플레이와의 협업이 불가피하지만, 스마트폰용 OLED 시장에서는 두 회사가 각자도생의 길로 들어섰다는 평가도 나온다. 두 회사 사정을 잘 아는 한 관계자는 "잘 팔리는 LG 스마트폰 출하량이 연간 100만~150만대 정도에 불과하고, 디스플레이 회사는 작은 물량을 대기 위해 설비에 들어가는 부품(섀도마스크·FMM)을 자주 교체해야 하기 때문에 고정비가 증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런 상황에서 LG전자가 단가를 낮추려고 하는 것도 LG디스플레이가 압박을 느끼는 요인으로 알려졌다.
장우정 기자(woo@chosunbiz.com)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