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05 (일)

[포토스퀘어] 사라져가는 새 뜸부기의 애달픈 짝찾기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겨레21] 기다리는 임은 안 오고

한겨레21

뜸 뜸 뜸…. 수컷 뜸부기가 6월7일 경기도 파주 공릉천 주변 논두렁에서 짝을 찾아 목청을 높이자, 까치가 텃세를 부리며 주변을 맴돈다. 뜸부기가 공격할 듯이 까치를 쫓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뜸북뜸북 뜸북새 논에서 울고/ 뻐꾹뻐꾹 뻐꾹새 숲에서 울 제/ 우리 오빠 말 타고 서울 가시면/ 비단 구두 사가지고 오신다더니”

동요 <오빠 생각> 첫 소절에 나오는 뜸부기는 예로부터 시골 논에서 흔하게 울음소리를 들을 수 있는 친숙한 새였다. 한데 논에 뿌린 제초제와 살충제의 영향으로 먹이가 줄고, 몸에 좋다는 소문이 퍼지는 바람에 뜸부기가 거의 자취를 감추고 말았다. 2005년부터 천연기념물(제446호)로 지정돼 보호받는 처지다.

6월 초 경기도 파주 공릉천 주변에서 운 좋게 뜸부기를 만났다. 벼 포기 사이를 능숙하게 헤치고 다니며 먹이를 찾던 새는 “뜸, 뜸, 뜸” 하고 특유의 소리를 낸다. 키가 자란 벼 포기를 벗어나 논두렁에 올라, 흑회색 몸을 드러내며 애타게 암컷을 부르기도 한다. 온몸으로 피를 토하듯 구애의 노래를 뱉어낼 때면, 동네 터줏대감 까치가 몰려들어 텃세를 부리는 모습이 뜸부기의 울음만큼 처량하다.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지내다 봄에 우리나라 논으로 날아오는 뜸부기는 벼 포기나 습지 주변 풀줄기를 이용해 접시 모양 둥지를 만든다. 화려한 번식깃도 치장하지 않고 구애 울음소리도 내지 않는 암컷은 좀처럼 사람 눈에 띄지 않는다.

한겨레21

번식기에 이마에서 정수리까지 돌출된 붉은색 피부가 발달하는 수컷 뜸부기가 벼 이삭 사이에서 주변을 살피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21

두 마리 수컷은 같은 논에서 잠시 함께 머물지만, 곧 영역 싸움을 벌여 이긴 수컷만 남아 암컷을 기다린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21

뜸부기는 논두렁에 자란 풀숲에 숨기를 좋아한다. 제초제를 뿌려 논두렁의 풀을 제거한 곳에선 찾아보기 어렵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한겨레21

.까치 여러 마리가 한꺼번에 뜸부기를 향해 날아들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주=사진·글 김진수 기자 jsk@hani.co.kr

<한겨레21>이 후원제를 시작합니다. 정의와 진실을 지지하는 방법, <한겨레21>의 미래에 투자해주세요.
[▶후원 하기]
[▶정기구독 신청]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