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미국 흑인 사망

중동으로 번진 BLM 운동…카팔라제도 등 인종차별주의 공론화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유명인사들, 인종차별 경험 공개…'현대판 노예제' 피해사례도 재조명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미국에서 백인 경찰의 과잉 진압에 흑인 조지 플로이드가 사망한 사건의 여파가 전 세계로 확산한 가운데 중동에서도 이를 계기로 사회의 뿌리 깊은 인종차별주의가 재조명되고 있다.

9일 미 일간 워싱턴포스트(WP)에 따르면 아랍 국가에선 인종이나 피부 색깔에 따른 차별이 만연하며, 일부 유명인사들이 소셜미디어 등을 통해 미국의 '흑인 목숨도 소중하다'(BLM·Black Lives Matter)에 대해 지지를 나타낸 것을 계기로 이들 국가 내 인종차별주의 문제도 주목받기 시작했다.

연합뉴스

레바논의 에티오피아 영사관 앞에 줄지어 선 여성들. 이들은 가정부나 보모로 일하다가 해고됐다.
[AFP=연합뉴스]



사우디아라비아 출신 흑인 모델이자 미용 관련 영상 블로그를 운영하는 아비르 신더는 최근 자신의 계정에 그동안 자신이 듣던 인종차별적 표현 일부를 공개했다.

그가 공개한 내용을 보면 자신보다 피부색이 밝은 남편을 가리켜 "너희 남편이 맞느냐"라든가 "어떻게 이 일을 구했느냐"는 질문부터 "(당신은) 흑인이지만 예쁘다. 알라에게 가호를" 같은 모욕적인 표현이 가득했다.

이집트 배우인 무함마드 라마단은 페이스북에 아들과 함께 찍은 사진을 올렸다가 악의에 찬 댓글을 받았다고 밝혔다. 피부색이 어두운 자신과 아들을 가리켜 "아버지처럼 검다"든가 "이 가족 중에는 엄마의 피부색을 닮은 사람이 없다니 재앙이다"는 댓글을 다는 사람들도 있었다.

이처럼 아랍 국가에선 흑인을 비하하는 표현을 자주 들을 수 있으며 버락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도 '노예'라는 뜻의 '알아브드'(al-abd)라고 불린다.

또한 대추야자 열매에 코코넛 가루를 묻힌 시리아식 전통 가정식 디저트의 이름은 '노예의 머리'를 뜻하는 '라스 알아브드'다.

레바논에선 초콜릿과 마시멜로로 만든 디저트가 같은 이름으로 불렸다가 제조업체가 10년 전 이름을 바꾼 뒤에야 이같은 인종차별적 명칭이 사라졌다.

연합뉴스

'노예의 머리'라는 의미의 '라스 알 아브드' 과자를 만드는 공장 직원들
[신화통신=연합뉴스]



아랍국가에서 인종차별주의를 체감할 수 있는 정점은 '카팔라'라고 불리는 근로계약 제도에 있다.

이 제도에 따르면 외국인 노동자는 현지 노동법이 적용되지 않으며 거주지부터 운명까지 모두 고용주의 손에 달려있다.

고용주가 전권을 쥐고 있다 보니 임금 체불이나 가혹한 근로조건, 신체적이거나 성적인 학대 행위가 발생해도 구제받지 못하는 사례가 빈번하다.

카팔라 제도의 희생자는 가나, 에티오피아 등 아프리카 국가는 물론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 아시아 국가에서 온 노동자까지 광범위하다.

지난달 말 하와라는 이름의 에티오피아 가정부는 레바논 고용주의 구타를 견디다 못해 가까스로 도망쳤다. 그는 1년간 월급도 받지 못했다며 탈출하지 않았다면 "그들이 죽였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와처럼 최근 에티오피아 영사관으로 탈출한 여성만 십수명이다. 대부분은 여권이나 전화기도 빼앗긴 상태였다.

카미유 아부슬레이만 레바논 전 노동부 장관이 카팔라를 "현대판 노예제"로 표현했다.

아랍 국가에서 오랜 기간 논란이 된 카팔라 제도의 문제점이 조지 플로이드 사건을 매개로 공론화됐다고 WP는 전했다.

아야 마즈주브 휴먼라이츠워치(HRW) 레바논 담당 연구원은 "BLM 운동은 사회가 카팔라 제도로 만들어진 구조적 인종차별주의와 이주 노동자를 대우하던 방식을 마주하게끔 만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사람들은 이제 이주 노동자 학대가 소수의 나쁜 고용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가 아니라, 그들을 2류 인간으로 대우하도록 조장하는 제도에서 비롯됐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덧붙였다.

lucid@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