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3 (월)

이슈 故최숙현 선수 사망사건

최숙현 청문회 필요성 제기되지만...일정 조율도 못하는 여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9일 오후 트라이애슬론 국가대표 출신 고(故) 최숙현 선수고향인 경북 칠곡군의 도로변에 최 선수 가해 사건에 대해 철저한 수사를 촉구하는 현수막이 걸려있다. 칠곡= 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폭언과 폭행으로 고통을 받다 세상을 떠난 트라이애슬론(철인3종경기) 최숙현 선수 사건에 대한 국회 차원의 청문회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하지만 원 구성 협상을 둘러싼 여야간 갈등 상황이 상임위 일정 협의까지 영향을 미치면서, 청문회 개최를 위한 여야 협의도 멈춰버린 상태다.

국회 차원의 청문회 필요성은 지난 6일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에서 열린 최 선수 사건 관련 긴급현안질의 때 제기됐다. 최 선수 폭행 가해자로 지목된 경주시청 감독과 선배 선수들이 ‘최 선수를 상대로 폭언과 폭행을 한 적 있냐’는 의원들의 질문에 “그런 적 없다”는 답변으로 일관했다. 하지만 팀 닥터 등 일부 팀 내부 구성원들의 폭행 사실이 경찰 조사를 통해 드러나면서 이들의 발언을 신뢰할 수 있느냐는 얘기가 나왔다. 이에 도종환 문체위원장은 7일 국회 차원의 청문회 추진 의사를 밝혔다. 긴급현안질의와 달리 청문회 증인으로 가해자들이 출석할 경우, 위증할 경우 고발조치가 가능하다는 점을 염두에 둔 발언이었다.

하지만 청문회 성사여부는 불투명하다. 8일 더불어민주당 문체위 간사인 박정 의원이 미래통합당 간사인 이달곤 의원에게 청문회 등 의사 일정 조율을 위해 연락했으나, 이 의원은 ‘협의에 응할 수 없다’는 뜻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국회에 복귀한 통합당은 주요 현안에 대해 상임위 차원이 아닌 별도 트랙을 통해 당 차원에서 대응하고 있다. 최 선수 사건과 관련해서도 문체위 차원이 아닌 당 차원의 대응을 이어가고 있다. 이에 문체위 소속 민주당 의원들도 이날 ‘고 최숙현 선수 사망사건 진상규명 및 스포츠 폭력 근절, 스포츠 구조개혁을 위한 긴급토론회’를 열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박정 의원은 "상임위에 참석해 같이 문제를 해결할 것을 야당에 촉구한다"고 말했다.

의원들이 앞다퉈 내놓은 ‘최숙현법’도 발의만 됐을 뿐 논의조차 못하고 있다. 9일까지 국회에는 최 선수 사건 재발 방지를 위한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안으로 △체육단체에 체육인 징계 정보 제출 의무 부여하는 안(박주민 민주당 의원) △정부가 징계를 받기 전 퇴사한 체육인 관련 자료도 체육단체에 요청할 수 있게 하는 안(임오경 민주당 의원) △체육계 인권침해를 조사하는 스포츠윤리센터가 2주내로 신속히 완료하게 하는 안(박정 민주당 의원) 등이 제출된 상태다. 통합당도 별도의 ‘최숙현법’ 제정을 예고했다.

상임위에서 과반을 차지하는 민주당이 단독 의결로 청문회를 개최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그러나 야당이 빠진 반쪽짜리 청문회라는 비판을 살 수도 있어 민주당 입장에서는 부담이다. 도종환 문체위원장은 이날 "야당 간사와 (청문회 개최) 논의를 이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홍인택 기자 heute128@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