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이슈 박원순 서울시장 사망

박원순 논란에 뜬금없는 `난중일기?`..진중권, 일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이데일리 최정희 기자] 고(故) 박원순 서울시장의 성추행 논란을 이순신 장군의 난중일기에 비유한 네티즌 글이 화제다. 특히 진중권 전 동양대 교수가 이 글을 비난하면서 화제를 낳고 있다.

대표적인 여권 지지 성향 인터넷 커뮤니티에서 한 이용자는 “난중일기에서 ‘관노와 수 차례 잠자리에 들었다’는 구절 때문에 이순신이 존경받지 말아야 할 인물인가요? 그를 향해 제사를 지내지 말라는 건가요?”라는 글을 올렸다.

이에 대해 진 전 동양대 교수는 12일 페이스북에서 “이걸 말이라고 하느냐”며 “지금은 조선시대가 아니다. 박원순은 이순신이 아니다. 피해 여성은 관고가 아니다”고 밝혔다.

이어 “그래도 이 발언은 아주 솔직하다”며 “친문과 그 지지자들이 국민을 바라보는 시각을 노골적일 정도로 정직하게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진 전 교수는 “한 마디로 친문의 눈에는 국민이 노비로 보이는 것”이라며 “그들의 눈에는 여성이 관노로 보이고 그들이 자자고 하자면 언제라도 잠자리에 들 의무가 있는..실제로도 그렇게 해왔다”고 비난했다. 이와 함께 “우리는 촛불 혁명을 했고 졸지에 ‘관노’가 됐다”며 “전국의 관노들이여 단결하라”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 전 교수는 박 시장의 장례를 ‘서울특별시장(葬)’으로 치르는 것도 비판했다. 그는 “시민들 사이에서 보편적 동의를 얻어내기 어려웠다”면서 “(여권이) 힘만 믿고 무리하게 밀어붙였으니..”라고 주장했다.

하루 전 올린 글에선 성추행 혐의 피소 직후 극단적 선택을 한 박 시장에게 ‘공과론’을 적용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주장했다. 그는 “공이 7이고 과가 3이라는 의견은 박정희, 전두환을 옹호하던 이들이 펴던 논리”라고 지적했다. 피해자가 있기 때문에 피해자 중심주의 원칙을 적용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운동권 출신 정치인들이 과거 내세우던 ‘도덕적 우위’가 더는 유지되지 않고 있다”며 “나를 포함한 운동권, 더는 숭고하고 거룩하지 않다. 우리들도 어느 새 잡놈이 됐다”고 말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