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7 (수)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집값 안 떨어져" 진성준 파문에 김근식 "文대통령 명예훼손···거짓 진보 이중의식"

댓글 1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것”이라며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집값을 잡는 데는 한계가 있다는 식의 발언으로 논란의 중심에 선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관련, 김근식 경남대 교수가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명예훼손”이라고 날선 비판을 쏟아냈다.

김 교수는 17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거짓 진보의 이중의식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면서 이렇게 목소를 높였다.

그러면서 김 교수는 “역시나 고 박원순 서울시장 성추행 의혹을 기정사실화하면 사자명예훼손이라며 적반하장식 생떼를 쓰더니 입진보였다”고 지적하면서 “결국은 자신의 이중성을 전국민에 생생하게 확인시켜줬다. 생방송 중에는 입에 침이 마르게 부동산값 잡을 수 있다고, 투기 막겠다고 열변 토하더니 본인 스스로 실패를 실토하는 솔직함을 넘어 가벼움의 극치”라고 바판의 수위를 끌어올렸다.

김 교수는 이어 “자신도 잘못된 걸 알지만 입으로는 옳다고 끝까지 우겨대는 거짓진보의 이중의식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것”이라며 “같은 날 국회에서 부동산 반드시 잡겠다고 호언장담한 문 대통령 명예훼손 아닌가”라고도 적었다.

아울러 김 교수는 “이젠 놀랍지도 않고 지켜보기 역겨울 뿐”이라면서 “공정과 정의를 오치며 자녀들 입시비리와 특혜대접을 당연시 여기는 조국 부류”라고 일침을 가했다.

앞서 진 의원은 전날 전파를 탄 MBC ‘100분 토론’에 나와 ‘7·10 부동산 대책’에도 한계가 있다는 취지의 발언을 내놨다. 토론이 끝난 뒤 마이크가 아직 켜져 있는 줄 모르고 한 발언이다.

방송은 유튜브에서도 동시에 방영됐다. 토론이 끝난 뒤 유튜브 영상에서는 아직 마이크가 켜져 있는 줄 몰랐던 패널들의 대화 내용이 고스란히 송출됐다.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김현아 미래통합당 비대위원이 먼저 “(부동산 가격이) 떨어지는 게 국가 경제에 너무 부담되기 때문에 그렇게 막 떨어뜨릴 수가 없다”고 언급하자 진 의원은 “그렇게 해도 안 떨어질 것”이라고 했다.

이같은 진 의원을 발언에 대해 김 비대위원은 “여당 국토교통위원회 위원이 그렇게 얘기하시면 국민들은 어떻게 하느냐”고 말했고 진 의원은 “부동산 뭐 이게”라면서 “어제 오늘 일입니까”라고도 했다.

진 의원의 이런 발언은 토론 때의 주장과 상충하는 내용이었다. 진 의원은 토론에서는 “부동산 정책의 원칙이 확립될 때가 왔다”, “근본적 처방을 하게 됐다”, “이 정책은 정권이 바뀌어도 고수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자신의 발언을 두고 논란이 확산되자 진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내고 “‘집값 떨어지는 것이 더 문제다’라고 주장하면서 정부의 강력한 부동산 대책의 발목을 잡으려는 ‘집값 하락론자’들의 인식과 주장에 대한 반박”이라고 밝혔다. 정부의 강력한 대책이 집값 하락으로 이어질 것이란 공포감이 있다는 일부 시각에 대한 반박이었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진 의원은 “제 발언의 진의는 ‘집값 하락’ 이라는 과장된 우려로 부동산 투기에 대한 규제를 막으려 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고, 토론에서도 정부의 7·10 부동산 대책을 계기로 ‘1가구 1주택’ 원칙을 확립해 나갈 것을 일관되게 주장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진 의원은 이어 “실제로 현행 부동산 대책에는 투기자본이 조세부담을 회피해 빠져나갈 정책적 구멍이 아직 남아 있으며, 앞으로 이 구멍을 더 촘촘하게 메워가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면서 “물론 토론 과정에서도 이러한 생각을 개진했다”고도 했다.

아울러 진 의원은 “이러한 발언의 맥락을 무시하고, 저의 진의를 확인하지도 않고 왜곡하여 보도한 것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한다”면서 “‘집값은 쉽게 떨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냉철한 인식과 비상한 각오로 부동산 투기 억제와 실수요자 중심의 1가구 1주택 원칙 확립을 위해 더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김경훈기자 styxx@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