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숨진 만델라 막내딸 진지도 코로나19 양성반응…유족 공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 "중요한 제스처…환자 낙인찍기 덜어줄 것"

연합뉴스

고(故) 진지 만델라 대사의 생전 모습
[로이터=연합뉴스 자료사진]



(요하네스버그=연합뉴스) 김성진 특파원 = 넬슨 만델라 전 남아프리카공화국 대통령의 막내딸로 이번주 초 사망한 진지 만델라-흘롱과네 주덴마크 대사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였다고 유족들이 공개했다.

IOL 등 현지매체에 따르면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16일(현지시간) 밤 고(故) 진지 대사에 조의를 표하면서 만델라 가문이 사인을 공개한 데 대해 "매우 중요한 제스처"라고 높이 평가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집권당 아프리카민족회의(ANC) 여성연맹이 이날 개최한 가상 추도식에서 이같이 말했다.

만델라와 전 부인 위니 마디키젤라-만델라 사이에서 막내딸로 태어난 진지 대사는 지난 13일 59세를 일기로 갑자기 숨졌을 당시 사인이 즉각 알려지지 않았다.

그러다가 고인의 아들인 존드와는 이틀 만인 15일 저녁 국영 SABC 방송에 진지 대사가 사망 당일 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였다고 확인했다.

그는 다만 "어머니께서 코로나19 관련 합병증으로 돌아가셨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고, 단순히 양성반응을 보였다는 것"이라면서 정확한 사인은 부검결과로 알려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어 진지 대사에 대해 "자유를 위해 싸운 여성"이라면서 고인이 코로나19 양성반응을 보인 사실을 유족이 공개한 것과 관련해서도, 코로나바이러스로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낙인찍기를 덜어주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말했다.

라마포사 대통령은 "이는 고통받는 사람들에 대한 사회적 용납을 고무하는 데 보탬이 될 것"이라면서 "자신의 삶을 동료 남아공인의 대의를 위해 헌신했던 여성이 생애 마지막으로 보여준 연대의 행동"이라고 강조했다.

1960년 태어나 아파르트헤이트(흑인차별정책)의 "가장 가혹한 조건"에서 성장한 진지 대사는 지난 13일 요하네스버그의 한 병원에서 별세했다. 이날은 넬슨 만델라의 장남인 템베킬레가 51년 전 사망한 날이기도 하다.

연합뉴스

17일 고 진지 대사의 운구차가 소웨토를 떠나는 가운데 사람들이 애도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진지 대사는 아버지 만델라의 생일을 하루 앞둔 17일 요하네스버그 북부 포웨이스에 있는 어머니 묘역 옆에 묻히게 됐다.

고인은 1985년 옥중의 아버지 만델라를 대신해 당시 아파르트헤이트 소수 백인 정권의 조건부 석방 유화책을 거부한 성명을 TV 카메라 앞에서 공개적으로 대독하면서 국제적인 주목을 받았다. 이후 그는 남아공인들에게 '국민의 딸'로 여겨졌다.

남아공 최초의 흑인 대통령으로 2013년 12월 타계한 만델라는 자유와 인권에 대한 투쟁으로 아프리카에서 젊은이들에게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로 조사됐다.

제나니 노시츠웨 들라미니 현 주한 남아공 대사는 진지 대사의 친언니이다.

연합뉴스

케이프타운 근처 빅터 베스터 감옥 앞에 있는 만델라 동상
[AP=연합뉴스 자료사진]



sungjin@yna.co.kr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