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GIST 문제일 교수 연구팀, 환자 콧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 핵심 바이오마커 발현 확인
콧물을 활용한 알츠하이머 치매 조기선별 키트 활용 예시.[DGIST 제공] |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콧물 검사로 알츠하이머성 치매 환자를 조기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는 뇌‧인지과학전공 문제일 교수 연구팀이 치매 환자의 콧물에서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핵심 바이오마커 바이오마커인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체 발현량이 증가하는 것을 규명, 간단한 콧물시료 검사로 치매환자를 조기 선별할 수 있는 기술 기반을 마련했다고 22일 밝혔다.
최근 국내에서도 급격한 고령화와 함께 치매환자 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국립중앙의료원 중앙치매센터 2019년 보고서에 따르면 만 60세 이상의 노인 인구 중 치매환자 수는 7%가 넘는 약 82만명을 차지하고 있다. 이 때문에 매년 16조원의 치매환자 관리비용이 발생하며, 2050년에는 현재의 약 4배의 치매환자와 8배에 달하는 치매환자 관리비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측된다.
이들 치매환자의 70%는 가장 대표적인 퇴행성 뇌질환인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앓고 있다. 이 중 약 60%는 치매 정도가 경미한 최경도 및 경도 환자들이다. 치매의 근원적 치료법이 없는 상황에서 경미한 치매 상태를 조기에 발견하면 증세 악화를 막거나 지연가능하다. 현재 출시된 치매 치료제들도 적절한 시기에 투여해야만 효과를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알츠하이머성 치매를 초기에 진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고비용의 뇌영상 촬영이나 환자의 고통을 수반하는 뇌척수액 시료채취가 필요한 침습적인 검사법 등 때문에 초기 진단이 쉽지 않은 실정이었다.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성 치매 초기에 나타나는 후각기능의 이상에 주목하고 환자의 콧물 시료를 통해 알츠하이머성 치매의 핵심 바이오마커인 수용성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 검출에 성공했다. 그리고 단백질 발현 여부를 확인하고자 면역블롯 분석을 이용해 경도 및 중등도 정도의 인지저하를 가진 환자 그룹과 동 연령대 정상 대조군 그룹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확인했다. 이를 통해 환자들의 콧물에 아밀로이드-베타의 응집체 발현이 더 높다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이를 증명하고자 지난 3년 간 종단 코호트 연구를 수행하며 콧물 속에 더 높은 응집체 발현을 보인 환자들은 그렇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3년 이내에 인지능력이 더욱 악화됨을 확인했다. 따라서 콧물에서 감지되는 아밀로이드-베타 응집체의 양에 따라 향후 알츠하이머성 치매 진행의 심각도를 미리 예측할 수 있다는 점도 추가로 규명했다.
문제일 교수는 “많은 분들이 치매 초기관리에 필요한 골든타임을 놓치는 경우가 많다”며 “이번 연구성과를 활용해 조기선별키트를 개발 중이며, 이를 통해 저렴한 비용으로 조기 검사를 받게 되어 환자와 보호자들에게 희망을 주고 국가적으로도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7월 8일 온라인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 Copyrights ⓒ 헤럴드경제 & herald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