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인공위성과 우주탐사

거침없는 ‘우주굴기’… 中, 이번엔 첫 독자 화성탐사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탐사선 발사… 성공 땐 美·러 이어 세계 세번째

지난해 사상 첫 달 뒷면 착륙 이어 우주 패권경쟁에 본격 진입 과시

화성 표면 도착 땐 2021년 2월 임무… 창어 5호, 달 표면 탐사·샘플 채취

탐사차·착륙선도 지구 귀환 추진… 美, 2019년 우주군 창설 中 견제나서

세계일보

중국의 첫 화성 탐사선 톈원(天問)-1호를 운반할 창정(長征)-5 Y4 로켓이 23일 하이난성의 원창 우주발사장 발사대를 떠나 하늘로 솟아오르고 있다. 원창 신화=연합뉴스


중국이 23일 하이난(海南) 원창 우주발사장에서 첫 화성 탐사선인 톈원(天問) 1호를 발사했다. 거침없는 중국 ‘우주굴기’를 세계에 과시한 것이다. 지난해 미국과 러시아보다 앞서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달 뒷면 착륙에 성공한 데 이어 이번에는 독자적인 화성 탐사에 나섰다.

만약 중국이 이번에 성공하면 이는 미국과 구소련(러시아)에 이은 세계 세 번째다. 중국이 우주패권 경쟁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는 상징적인 프로젝트인 셈이다. 미국도 중국 우주굴기에 맞서 지난해 우주탐사 재개를 선언하고 올해 안에 화성 미생물 흔적 탐사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관영 신화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낮 12시41분(현지시간) 하이난 원창 우주발사장에서는 첫 화성 탐사선 톈원 1호를 중국 최대 운반 로켓인 창정 5호에 실어 발사했다. 톈원 1호는 화성 궤도 비행부터 착륙, 탐사까지의 임무를 한꺼번에 수행할 예정이다. 발사가 성공적으로 이뤄지면 내년 2월 화성 궤도에 도착해 탐사 활동에 본격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중앙방송(CCTV)과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 등 관영 매체는 톈원 1호를 쏘아 올린 직후 발사 장면을 일제히 공개했지만 발사 실패에 대한 우려로 생중계하지 않았다. 중국은 2011년 러시아 탐사선에 자국 화성 탐사선인 잉훠 1호를 실어 보냈지만 지구 궤도를 벗어나지 못한 채 추락했다.

톈원 1호는 궤도선과 달 착륙선, 표면 탐사로봇인 로버로 구성된 사상 첫 ‘트리플 화성탐사선’이다. 궤도선을 통해 전체 화성을 광범위하게 조사하고 로버를 통해 화성 표면의 광물질 등을 조사한다는 계획이다. CCTV는 “이전 화성 탐사 프로젝트에는 없었던 새로운 도전 과제”라고 전했다.

세계일보

중국의 화성탐사선 톈원(天問)-1호를 운반할 창정(長征)-5 Y4 로켓의 모습. 연합뉴스


‘톈원’은 ‘하늘에 묻는다’(天問)는 뜻으로 기원전 3세기 춘추전국시대의 시인 굴원의 시 제목에서 따온 이름이다. 올해로 로켓 개발 50주년을 맞은 중국은 4월24일 ‘항공우주의 날’을 맞아 향후 추진할 행성 탐사 프로젝트의 이름을 ‘톈원’으로 정했다. 중국은 2016년 지구와 달 너머 행성을 탐사한다는 계획을 처음 발표한 이후 화성 탐사선을 준비해 왔다.

중국의 우주탐사 활동은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이번에 화성 탐사선을 발사한 데 이어 올해 안에 창어 5호를 발사해 달 표면을 탐사하고 샘플을 채취한 후 탐사차와 착륙선을 모두 지구로 귀환시키는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중국은 2013년 달 탐사선 창어 3호를 달 앞면에 착륙시키고, 지난해에는 창어 4호를 세계 최초로 달 뒷면에 착륙시킨 바 있다. 유인 우주정거장 건설도 계획 중이다.

중국 우주굴기에 미국도 본격적인 견제에 나섰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지난해 12월18일 미군 우주사령부 창설을 담은 행정각서에 서명하면서 우주탐사 재개를 선언했다. 미 항공우주국(NASA)은 오는 30일에서 8월15일까지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 미생물 흔적을 탐색한다는 계획이다. 2033년에는 화성에 사람을 보낸다는 계획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72년 아폴로 17호를 끝으로 달 탐사를 중단했지만, 2023년을 목표로 달 유인 탐사 프로젝트도 재개하기로 했다.

베이징=이우승 특파원 wslee@segye.com

ⓒ 세상을 보는 눈, 세계일보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