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국회의장과 한국정치

'뿔난' 통합당 초선들 "국회의장단, 대정부질문서 중립성 잃어"(종합)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통합당 초선의원들, 국회의장·부의장에 항의 서한 전달

"대정부질문서 중립적이지 못한 회의 진행 방식에 유감"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 미래통합당 초선의원들이 지난 22~24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편파적으로 회의를 진행했다는 이유로 국회의장단을 찾아 항의했다.

이데일리

박형수(오른쪽) 통합당 의원과 최승재(왼쪽에서 3번째) 의원 등이 27일 오전 국회의장실로 가고 있다. (사진=최승재 의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통합당 초선의원들은 27일 오전 11시 박병석 국회의장과 김상희 국회부의장을 방문해 이와 같은 내용의 서한을 전달했다. 국회의장단의 중립적이지 못한 회의 진행 방식에 유감을 표명하고 재발 방지를 요청하는 내용이다. 간사인 박형수 의원을 중심으로 최승재 의원 등 7명의 의원들이 동참했다.

통합당은 지난 2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의 이소영 더불어민주당 초선의원 발언이 부적절하다는 입장이다. 이 의원은 당시 “‘문재인 정부가 독재를 행하고 있다, 입법부를 장악했다’는 통합당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발언했다. 이어 지난 원 구성 협상 과정에 대해 “주 원내대표는 사의를 표명하고 열흘간 시간을 끌고 돌아와서 법사위 자리만 고집하면서 주요 상임위원장을 모두 거부했다”며 “국민이 (통합당의 주장을) 납득하기 어려울 것”이라고도 덧붙였다. 이에 통합당 의원들이 고성을 지르고 삿대질을 하는 등 거세게 항의하며 본회의장은 잠시 아수라장이 됐다.

김상희 국회부의장도 이 의원을 향해 “대정부질문에 맞는 적합한 질의를 해주면 좋겠다”고 자제를 당부했었다. 아울러 추미애 법무부장관도 통합당 의원들의 질문에 시종일관 감정적으로 대응했다는 지적도 나왔다.

통합당 초선의원들은 서한을 통해 “대정부질문은 연설이 아닌 일문일답으로 진행하도록 국회법에 규정돼 있다. 그러나 대정부질문을 야당 공세의 장(場)으로 악용한 여당 초선의원에게도 즉각적인 제지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국회의장단은 헌법상 행정부 수반인 대통령의 권력을 견제하는 삼권분립의 한 축이다. 공정하지 않은 의사 일정 진행이 반복되지 않도록 유념해줄 것을 정중히 요청한다”고 했다.

최승재 의원은 “지난 23일 국회 대정부질문에서 있었던 더불어민주당과 국회의장단은 국회법에 근거한 대정부질문의 취지를 퇴색시켰고,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으로서의 품격을 스스로가 내팽개쳤다”라며 “국회 스스로가 품격을 훼손당하지 않기 위해서는 우리 미래통합당의 의사를 분명히 전달하고, 재발 방지를 촉구해야겠다는 취지에서 미래통합당 초선의원들 중심으로 자발적인 행동에 나섰다”고 밝혔다.

이에 서한을 전달받은 국회의장단은 통합당 의원들에게 ‘원내 지도부와도 얘기해서 국회가 원만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겠다’는 답변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데일리

통합당 초선의원들이 27일 김상희 국회부의장실을 찾아 의견을 전달하고 있다. (사진=박형수 의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