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이슈 故박원순 시장 성추행 의혹

박원순 피해자 측, 인권위 직권조사 요구…성추행 의혹 실체 드러날까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피해자 A씨 지원 여성단체, 인권위에 직권조사 요구

경찰 수사도 속도…이번주 관련자 줄소환 예정

아시아경제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 등 여성단체 관계자들이 28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앞에서 '서울시장의 위력에 의한 성폭력 사건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직권조사 촉구 공동행동'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시청에서 출발해 인권위까지 행진하고 인권위 앞에서 직권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아시아경제 정동훈 기자, 송승윤 기자] 박원순 전 서울시장을 성추행 혐의로 고소한 전직 비서 A씨를 지원하는 여성단체들이 국가인권위원회에 직권조사를 요구했다.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ㆍ여성노동자회ㆍ여성민우회 등 8개 여성단체는 28일 오전 "이 사건은 인권위의 진상규명으로 시작해 여성이 안전하게 일하고 불이익을 받지 않는 노동환경 조성으로 마무리돼야 한다"라고 밝혔다. 이들 단체 소속 행동가와 시위 참가자 100여명은 시청에서 출발해 명동성당 앞 인권위까지 행진하고 인권위 앞에서 인권위의 직권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열었다.


당초 단체들은 인권위에 고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의혹에 대한 진정을 제기하겠다고 밝혀왔다. 그러나 구조적인 문제까지 들여다보기 위해선 직권조사가 적합하다는 판단으로 선회했다. 인권위 직권조사는 진정조사와 효력은 같지만 위원회 판단에 따라 조사 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아시아경제

한국성폭력상담소와 한국여성의전화 등 여성단체 관계자들이 28일 서울 중구 서울도서관 앞에서 '서울시장의 위력에 의한 성폭력 사건에 대한 국가인권위원회 직권조사 촉구 공동행동'을 하고 있다. 이들은 이날 시청에서 출발해 인권위까지 행진하고 인권위 앞에서 직권조사를 촉구하는 기자회견을 연다./김현민 기자 kimhyun8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와 별도로 이뤄지는 경찰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고 박 전 시장 성추행 방조ㆍ방임 의혹을 수사하는 경찰은 서울시 관계자들을 잇따라 소환해 조사하고 있다. 경찰은 현재까지 시장 비서실에서 일한 직원 등 관련자 10여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A씨의 피해 내용을 인지하고 있었는지 등을 조사했다. 경찰은 이번 주에도 조사 대상인 관련자들을 차례로 소환할 방침이다. 참고인 조사를 마치는 대로 전ㆍ현직 비서실장 등 성추행 방조 혐의로 고발당한 이들에 대한 조사도 벌일 계획이다. 이미 한 차례씩 조사를 받은 고한석 전 비서실장과 임순영 젠더특보가 조사 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다.


방임 의혹 수사는 서울시 관계자들이 고 박 전 시장의 성추행 사실을 인지하고도 묵인 또는 방조했는지를 입증해내는 데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피해자의 인사이동 요구를 묵살한 경위도 집중 조사 대상이 될 전망이다. 다만 혐의 적용 여부는 여전히 미지수다. 아직 혐의점이 확인돼 정식 입건된 인물이 없는 상황인 데다, 방조 의혹을 받는 관련자들도 적극적으로 방어논리를 펼치고 있어서다. 특히 고 박 전 시장이 사망했기 때문에 성추행이 존재했는지를 따지는 것부터가 쉽지 않다. 증거 확보를 위해 경찰이 서울시청에 대해 신청한 압수수색 영장도 이미 한차례 기각된 바 있다.


한편 경찰은 당초 사건의 본류인 고 박 전 시장의 성추행 고소건은 '공소권 없음'으로 검찰 송치할 방침이었으나, 성추행 방임 의혹 등 고소ㆍ고발건이 맞물려있어 예상보다 늦게 송치가 이루어질 전망이다.



정동훈 기자 hoon2@asiae.co.kr
송승윤 기자 kaav@asiae.co.kr
<ⓒ경제를 보는 눈, 세계를 보는 창 아시아경제(www.asiae.co.kr) 무단전재 배포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