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11.28 (목)

이슈 끝없는 부동산 전쟁

속도 내는 초기 재건축…안정 찾은 서울 집값 '복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연말 '거주의무 2년' 생기자…조합 설립 속도전

공급대책 앞두고 규제 완화에 소유주들 '촉각'

서울 아파트값 상승세 주춤했지만, 재건축 '불씨'

뉴시스

[서울=뉴시스]전진환 기자 = 주택공급 대책을 두고 정부와 여당이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 해제'를 강력하게 밀어붙이고 있지만, 서울시는 그린벨트 해제 이외에도 주택공급을 확대할 수 있는 방안으로 강남 대치동 소재 은마 아파트 등에 대한 재건축·재개발 규제완화, 시유지 및 국·공유지 개발 등을 대안으로 제시한 것으로 16일 확인됐다. 사진은 16일 서울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경. 2020.07.16. amin2@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시스] 이인준 기자 = 6·17 부동산 대책 발표 이후 규제 강화를 피하기 위한 재건축 초기 단지들의 사업 추진에 가속도가 붙기 시작했다.

지지부진했던 소유주 동의 작업 등이 순풍이 돛 단 듯 순조롭게 진행되자 해당 단지와 주변 단지의 집값을 자극하며, 주춤해진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의 변수로 등장했다.

1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부 재건축 단지들의 조합 설립 절차에 탄력이 붙었다.

서울 용산구 서빙고동 신동아 재건축추진위원회의 경우 최근 소유주 동의율이 80%를 돌파했다.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에 따르면 조합 설립 인사를 위해서는 각 동별 소유자의 과반수와 전체 소유자의 75%(4분의 3 이상)의 동의가 필요하다. 설립 요건이 갖춰짐에 따라 조합측은 오는 10월께 창립총회를 열고 조합설립을 마칠 계획이다.

최근 초기 재건축 단지에서 조합 동의율이 높아진 배경은 6·17 대책에 담긴 실거주 의무 강화 때문이다.

정부는 올해 말부터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단지를 소유한 조합원이 2년 이상 거주한 경우에만 분양권을 인정하기로 했다. 낡고 오래된 재건축 아파트의 경우 투자 목적으로 매입하기 때문에 집주인이 사는 경우가 드물다. 소유주가 거주하지 않으면서 투기 목적으로 주택을 구입해 시세차익만 거두는 것을 봉쇄하겠다는 취지다.

만약 조합 설립을 하지 못하면 실거주 2년 미만의 조합원은 재건축 분양권을 받지 못한다. 내년에 실거주 의무가 강화되면 거주기간 2년을 채우지 못한 경우 조합 설립에 반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이 때문에 사업이 속도를 내기 시작한 것이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으로 수도권 투기과열지구 중 조합설립 이전 단계인 재건축 사업장은 88개 단지(8만643가구)로, 이 중 조합설립인가 직전 단계인 재건축 추진위원회 승인까지 받은 곳은 40개 단지(2만8673가구)다.

신동아뿐 아니라 경기 과천주공10단지, 서초구 신반포2차 아파트도 이미 동의율 기준(75%)을 충족한 것으로 전해졌다.

강남구 압구정동, 영등포구 여의도 등 재건축 추진 아파트가 많은 지역도 사업추진에 속도가 나기 시작했다.

특히 압구정동은 정부와 서울시의 공급대책 발표를 앞두고, '35층 층고 제한' 완화 가능성이 제기되자 급진전을 보고 있다. 용적률이 높아질수록 더 많은 세대를 짓게 돼 사업성이 높아질 것이라는 기대감에 일단 조합 설립을 하고 보자는 분위기다.

여의도에서는 삼부 아파트가 조합설립 동의를 진행 중으로, 업계에서는 연내 조합 설립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밖에 은마 아파트 등 주요 재건축 단지도 조합 설립이 가시화 될지에 대한 시장의 관심이 커지고 있다. 은마 아파트는 2003년 12월 재건축 추진위원회 승인을 받았지만 17년째 제자리걸음이다. 특히 은마 아파트가 있는 강남구 대치동은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지만, 최근 종전 최고가에 거래가 재개되는 등 기대감이 여전한 상황이다.

다만 업계에서는 정부의 공급 대책 발표가 예고된 가운데, 대책 중 하나로 재건축 규제 완화가 거론되고 있어 가까스로 안정세를 찾은 서울 아파트 매매시장에 불씨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크다.

재건축 사업 추진은 해당 단지는 물론 지역 내 개발호재로 여겨져 인근 아파트값까지 밀어 올리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앞서 양천구 목동, 마포구 성산시영아파트가 안전진단을 통과한 이후 재건축 기대감이 크게 달아오르면서 아파트값이 크게 뛰었다. 양천구 목동신시가지6단지의 경우 매물 품귀 현상까지 빚으며 호가가 3억원 치솟았고, 마포구 성산시영 아파트도 재건축 추진 확정 이후 1억원 이상 올랐다. 이는 주변 단지로 퍼지면서 인근 집값을 자극하는 구실을 한 바 있다.

게다가 보유세 강화 영향으로 '똘똘한 한 채' 수요가 재건축 시장으로 다시 유입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국감정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은 지난달 27일 기준 0.04% 오르는 데 그쳐, 지난달 6일 이후 3주 연속 상승폭이 축소(0.11→0.09→0.06→0.04%)됐다.

다만 아파트 준공 시기별로 보면 서울의 20년 초과 재건축 아파트는 0.06% 올라 평균을 웃돌았다. 감정원 관계자는 "정부의 잇단 규제 발표로 지역별, 단지별 시장이 양극화되고 있는 가운데, 재건축 사업 추진이 가시화되는 단지를 중심으로 매수문의가 늘고 있다"면서 "이에 집주인이 매물을 거둬들이면서, 호가 상승이 나타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ijoinon@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