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은 1일 오후 용산구 임시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정원 증원, 공공의대 설립, 첩약 급여화, 원격의료 도입 등을 규탄하며 이같이 밝혔다. 특히 의대 정원 증원에 대해선 의료비 상승과 인구 감소, 의학 교육의 중요성을 고려하지 않은 졸속 계획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협은 정부에 전공과목별·지역별·의료기관 종별(상급종합병원, 종합병원, 병원, 의원 등) 불균형 해소 등을 논의할 협의체를 구성해 3년간 운영하면서 의료계와 협의하자고 촉구했다.
공공의료기관 설립 계획은 철회하고 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의 의료경쟁력 강화와 근무 의료인력 처우 개선 등을 통해 국민 건강 증진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한방 첩약 건강보험 급여화 시범사업은 전면 철회하라고 주장했다. 건강보험 재정이 암, 희귀 난치병 등 필수 분야에 우선으로 투입될 수 있도록 하라는 취지다.
의협의 총파업이 현실화돼도 환자의 진료에는 큰 차질이 없을 것으로 보인다. 특히 코로나19로 비상시국인 상황에서 의협이 또 다시 길거리 투쟁에 나설 경우 국민들로 부터 '밥그릇 지키기'라는 비판을 받을 가능성이 적지 않다. 무엇보다 병원계가 정부와 여당이 추진하는 의대정원 증원 및 공공의대 설립, 비대면(원격의료) 도입에 찬성하고 있다. 하지만 병협은 첩약 급여화에는 반대하는 입장이다.
[이병문 의료선임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의 카테고리는 언론사의 분류를 따릅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