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틱톡 퇴출…‘미운털’ 중국·빌 게이츠 한번에 손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미국 내 사용금지로 중국 견제

MS 측의 사업 인수도 중단시켜

비판 일삼던 빌 게이츠에 보복

유세 참패 ‘털사의 악몽’ 영향준 듯

중앙일보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전 세계 20억 명이 넘는 사용자를 보유한 중국 바이트댄스의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TikTok)의 미국 사업을 인수하려던 마이크로소프트(MS)의 계획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반대로 중단됐다. 트럼프가 틱톡의 미국 내 사용을 금지하겠다고 밝힌 데 이어 MS의 틱톡 인수 계획에도 제동을 건 것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MS가 틱톡 인수 협상을 잠정 중단했다고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배경에는 트럼프가 있었다. MS가 틱톡을 인수하는 것이 백악관의 뜻에 부합한다고 믿고 협상을 진행했지만, 트럼프가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면서 계획에 차질이 생겼다.

트럼프의 제동에 협상 전망도 불투명해진 상태다. 한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반대에 틱톡이 앞으로 3년간 미국에서 최대 1만 명의 일자리를 더 만들기로 합의하는 등 양보안을 내놨지만, 대통령이 입장을 바꿀지는 분명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로이터통신은 복수의 관계자를 인용해 바이트댄스가 틱톡의 미국 사업을 전면 매각하기로 합의했다고 전했다. 트럼프가 전날 미국에서 틱톡 사용을 금지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힌 이후 백악관과 합의점을 찾으려 이런 결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로이터에 따르면 바이트댄스는 당초 MS와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협상을 벌이면서 소수 지분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백악관이 이를 거부하면서 바이트댄스는 미국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MS가 이를 인수하는 안을 새로 제안했다. MS가 모든 미국인 이용자 정보를 보호할 책임을 안는 조건이었다. 그러나 이마저도 제동이 걸렸다.

중앙일보

틱톡 앱 다운로드 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음악을 입힌 짧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틱톡은 미국에서 10~20대가 주로 쓰는 동영상 앱이다. 미국에만 사용자가 1억6500만 명이며 하루 이용자는 8000만 명에 달한다.

트럼프 입장에서 틱톡 공격은 일석이조 효과가 있다. 우선 중국을 견제하는 효과다. 여기에 MS 인수 건에 제동을 걸면서 민주당 성향인 빌 게이츠 MS 창업자도 견제할 수 있다. 게이츠는 트럼프를 비판하는 언급을 자주 했다. 미국에서 코로나19가 확산하던 지난 3월 한 인터뷰에서는 “세상에서 국내총생산(GDP) 성장이 가장 중요한 정치인이 있다”며 “저쪽 구석의 시체 더미를 무시하라고 하는 건 너무 심하다”고 비판했다.

중국 기업 중 틱톡이 타깃이 된 건 트럼프에게는 뼈아픈 ‘털사의 악몽’도 작용했다고 CNN이 보도했다. 지난 6월 오클라호마주 털사에서 열린 트럼프의 유세는 흥행 참패로 끝났다. 온라인으로 참가하겠다고 신청하고 당일 가지 않아 유세장이 텅텅 비었다. 그때 10대들이 이용한 앱이 바로 틱톡이었다.

트럼프가 틱톡의 미국 내 사용 금지 방침을 공언하자 미국 이용자들은 당황하고 있다. 틱톡에서 스타가 된 이들의 비판도 이어지고 있다고 미 정치 전문매체 더힐은 전했다. 틱톡에 3400만 명이 넘는 팔로어를 보유한 19세 가수 베이비 애리얼은 “트럼프가 싫다”고 썼다. 그는 틱톡에서만 18억 개의 ‘좋아요’를 받은 인플루언서다.

중국은 트럼프의 결정이 역효과를 낼 것이라며 반발한다. 중국 관영 글로벌타임스는 2일 “틱톡 사용 전면 금지나 틱톡 미국 사업 매각 금지 같은 조치는 근시안적인 정치적 억압”이라면서 “미국 시장에 대한 기업의 신뢰를 저하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왕원빈(汪文斌)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미국은 중국 기업들에 개방적이고 공정하며 차별 없는 환경을 제공하고 무역의 정치화는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유진 기자 suh.youji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