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5.21 (화)

[위대한 생각]①아테네, '민주주의의 힘'으로 그리스 패권 쥐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지상 강의 : ‘WarStrategy’ 2강 페르시아 전쟁

지중해 패권 놓고 페르시아와 그리스 도시 국가 충돌

그리스 시민군, 42㎞를 달려 마라톤 전투에서 승리

약소국 아테네, 전쟁 후 그리스 패권국으로

오늘의 강연 및 지성인

☆ 워-스트래티지(WarStrategy)


전쟁은 무기의 질, 병력의 수보다 어떻게 준비하고 어떤 전략과 작전을 바탕으로 전투를 수행하느냐에 따라 승패가 결정된다. 한국전쟁을 시작으로 페르시아 전쟁 등 인류사의 향배를 결정지은 수많은 전쟁과 이에 얽힌 전략적 사유를 통해 개인과 국가의 행위를 이해하는 폭을 넓힌다.

☆ 최영진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

중앙대에서 정치국제학과 교수로 재직.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회장, 한국정치학회 부회장 역임. 육군 및 해군 발전자문위원. ‘전쟁과 미술’ 발간. ‘현대군사명저를 찾아’, ‘군사고전 다시읽기’, ‘역사속의 군사전략’ 등 기고 중.

이데일리

최영진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가 지난달 13일 서울 중구 순화동 KG하모니홀에서 ‘위대한 생각’ 지상 강연 ‘워-스트래티지’ 페르시아 전쟁 편을 강의하고 있다. (사진=노진환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총괄기획=최은영 부장, 연출=권승현 PD, 정리=이성웅 기자] 민주주의의 중요성과 공동체의 의미가 어느 때보다 부각되는 시기다. 전에 없던 초거대 여당이 탄생했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성숙한 시민의식이 요구되고 있지만, 계층·세대·성별 간 갈등은 현재 진행형이다.

최영진 교수는 위대한 생각 ‘워-스트래티지’ 두 번째 강연에서 ‘페르시아 전쟁’을 통해 민주주의와 공동체 정신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페르시아 전쟁은 기원전(BC) 490년부터 BC 450년까지 40년에 걸쳐 펼쳐진 그리스와 페르시아의 전쟁이다. 이 전쟁은 역사상 최초의 동·서양 간 전쟁으로 기록돼 있으며, 2007년 개봉한 영화 ‘300’의 실제 배경이다.

식민지 반란에서 시작된 전쟁

BC 499년 페르시아의 식민지였던 ‘이오니아’에서 반란이 일어난다. 현재의 터키 지역인 이오니아에는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정착해 있었지만 페르시아의 키루수 2세에 의해 복속됐다. 페르시아의 지배에 불만을 품던 그리스 도시 국가들이 밀레투스를 중심으로 반란을 일으킨 것이다.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가 반란을 무자비하게 진압하자, 이들은 그리스 본토 도시국가들에 도움을 청한다.

이데일리

BC 500~479년 사이 그리스와 페르시아 지역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스 본토의 양강 세력 중 하나인 스파르타는 개입을 꺼렸지만, 또 다른 양강이었던 아테네는 에레트리아와 함께 지원을 결정한다. 그러나 지원 병력은 함선 20척에 불과했다. 이들은 페르시아의 중요 사원인 키벨레 사원을 불태우는 전공을 세웠지만, 다리우스 1세의 심기만 건드린 채 페르시아 기병대에 패해 도주하면서 페르시아 전쟁의 빌미를 제공하게 된다.

결국 이오니아 반란은 진압됐지만, 페르시아의 다리우스 1세는 반란을 도운 그리스 도시국가들을 용서하지 않았다. 더구나 쿠데타로 권력을 장악한 다리우스 1세는 자신의 부족한 정당성을 채우기 위해 영토 확장에 열을 올리던 시기였다. 페르시아는 BC 492년 그리스 원정에 올랐지만 페르시아 함대가 아토스 산 인근에서 폭풍우로 좌초되면서 최초의 원정은 실패로 돌아간다.

BC 491년 다시 원정을 준비한 다리우스 1세는 스파르타와 아테네에 사절을 보내 복종의 의미로 ‘흙과 물’을 보낼 것을 요구한다. 스파르타와 아테네는 사절을 처형하는 것으로 거절 의사를 밝힌다. 영화 ‘300’에서 스파르타 왕 레오니다스 1세가 페르시아 사신을 낭떠러지로 걷어차며 “디스 이즈 스파르타”(This is Sparta·이게 바로 스파르타다)라고 외치는 바로 그 장면이다.

이데일리

다리우스 1세


비록 페르시아가 양강 스파르타와 아테네의 항복은 못 얻어냈지만, 주변 일부 도시국가의 협조을 얻어내는 데에는 성공한다. 다리우스 1세는 최소 600척의 함대로 그리스 본토 상륙작전을 감행하고 이오니아 반란에 개입한 에레트리아를 제압한다. 페르시아 군대는 파죽지세로 아테네를 향해 진격하면서 아테네 군대와 충돌하는데, 이 전투가 벌어진 곳이 바로 ‘마라톤 평원’이었다.

마라톤 전투, 페르시아와 아테네의 충돌

최 교수는 마라톤 전투가 양국의 전략이 정면으로 충돌한 전투였다고 봤다. 페르시아는 8월에 마라톤 해변에 상륙했는데, 이 시기는 스파르타 군이 움직일 수 없는 종교적 축제 기간이었기 때문에, 군사 강국인 스파르타의 개입을 막은 것이다. 한편 페르시아는 아테네가 참주정에서 민주정으로 바뀌면서 쫓겨난 히피아스 참주를 포섭한다. 히피아스가 후방에서 아테네로 침투해 옹호세력들을 모아 반란을 일으키면 무혈입성이 가능하다는 포석이었다.

그리스군을 이끄는 사령관 밀티아데스는 페르시아군을 마라톤 평원에서 막아야할지 아테네까지 불러들인 뒤 격퇴시켜야할지를 고심했다. 결국 밀티아데스는 마라톤 평원의 전투를 선택했고 9000명의 중장보병을 마라톤 평원에 투입하기로 결정한다. 하지만 30㎏이 넘는 갑옷과 방패로 무장한 중장보병은 움직임이 둔해 페르시아군의 주력인 기병을 상대하기 힘들다.
이데일리

마라톤 전투가 펼쳐졌던 그리스 마라톤 평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동력 뿐 아니라 수적으로 열세였던 그리스 중장보병은 페르시아군과 대치상태에서 빠른 속도로 대열을 좌우로 넓혀 페르시아군을 에워싸는 전략으로 압도적인 승리를 거둔다. 이 전투에서 페르시아군 사망자 수는 6400명인데 반해, 아테네 연합군의 사망자는 192명에 불과했다. 일반 대중에게 마라톤 전투 직후 전령이 42㎞를 달려 승전보를 전한 것이 마라톤의 기원이라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아테네 인근 팔레론 항구로 상륙하려는 페르시아 함대를 막기 위해 전군이 움직였다.

최 교수는 1차 페르시아 원정이 실패로 돌아간 결정적인 이유로 마라톤 평원 전투 직후 아테네 연합군이 발휘한 시민 정신에 있다고 강조했다. 최 교수는 “무거운 장비를 짊어진 시민군 중장보병이 제 시간에 아테네에 도착하기 위해 전속력으로 진군했기 때문에 페르시아군을 막아낼 수 있었다”며 “노예가 중심인 페르시아군과 달리 자신의 국가와 가족을 지키기 위해 42㎞를 주파할 수 있었던 시민군의 정신과 투혼이 아테네 승리의 비결이었다”고 말했다.

이데일리

크세르크세스 1세




그리스 맹주로 부상한 아테네…전쟁이 민주주의 발전 계기

1차 원정 실패 이후 다리우스 1세는 이집트 지역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하다가 병사하고, 크세르크세스 1세가 뒤를 잇는다. 그는 영화 ‘300’에서 ‘아임 제너러스’(I’m generous·나는 관대하다)라는 대사로 유명하다. 크세르크세스 1세는 이집트와 바빌로니아에서 일어난 반란을 진압한 후 그리스로 대규모 원정군을 직접 이끈다. 페르시아 전쟁사를 기술한 역사가 헤로도토스에 따르면 당시 원정군의 규모는 260만명에 달했다.

크세르크세스 1세는 선대의 실패에서 교훈을 얻어 무려 4년간 원정을 준비한다. 그리스 도시국가 중 스파르타와 아테네에 적대적인 나라들을 포섭하고 그리스 북쪽 세력을 규합한다. 5곳의 식량창고를 만들어 대규모 원정군의 보급책을 미리 마련했다. 최초 원정에서 폭풍우로 함대를 잃었던 아토스산 뒤편에 운하를 만들어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도록 했다.

아테네도 승리에 취해 있지 않았다. 아테네는 10년간의 휴전기 동안 테미스토클레스의 주도 아래 중장보병 중심에서 해군 중심으로 체질 개선을 시도했고, 그 결과 삼단갤리선 200척을 확보한다. 또한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아테네와 스파르타를 중심으로 ‘헬라스 동맹’을 결성하고 페르시아의 침공에 대비했다.
이데일리

프랑스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가 그린 테로모필레 협곡 전투에서 레오니다스 1세(가운데)와 스파르타 군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페르시아군은 BC 480년 7~8월 사이에 그리스 동부 테살리아 지역에 도착한다. 1차 원정 때와 마찬가지로 스파르타군이 움직이지 못하는 축제 기간에 맞추기 위한 전략이다. 헬라스 동맹군 6000~7000명은 테르모필레 협곡에 1차 방어선을 구축하고 지형을 활용해 페르시아군을 고립시키는 작전을 펼친다. 이 전투가 영화 ‘300’ 속 최종 전투의 배경이 된 테르모필레 전투다. 영화와 달리 실제로는 레오니다스 왕과 근위대 300명 뿐 아니라 동맹군 2000명이 마지막 항쟁을 펼쳤다. 레오니다스 왕이 이끄는 헬라스 연합군은 페르시아군의 공세에도 이틀씩이나 흔들리지 않았다. 하지만 3일째 페르시아군이 협곡 우회로를 찾으면서 테르모필레가 뚫린다.

협곡 전투 후 페르시아군이 한 달 만에 아테네에 진입하자, 테미스토클레스가 이끄는 그리스 해군은 페르시아 함대와 전면전을 결정한다. 이 전투가 바로 살라미스 해전이다. 이 해전에서 그리스 해군은 배를 서로 부딪는 충각 전법과 후퇴하는 척 페르시아 함대를 속이는 기만 전략을 활용한다. 테미스토클레스의 전략으로 200여척의 페르시아군 전함은 궤멸됐고, 페르시아의 2번째 원정은 실패로 돌아간다.
이데일리

살라미스 해전


두 차례에 걸친 페르시아의 대규모 원정이 실패로 끝난 이후에도 크세르크세스에게서 전권을 위임받은 마르도니오스가 3차 원정을 나선다. 하지만 이번에도 스파르타가 파견한 원정군과 아테네군의 연합에 다시 격파된다. 3차에 걸친 승리 이후 그리스 연합군에서 스파르타가 탈퇴하면서 아테네가 맹주가 된다. 그리스 연합군은 BC 449년까지 델로스 동맹을 결성하고 페르시아를 공격한다. 그 결과 그리스는 이오니아 지역을 모두 점령하고 페르시아의 중요한 자산인 헬레스폰트 부교를 파괴한다.

결국 BC 449년 양국이 칼리아스 화약을 맺으면서 40년에 걸친 치열한 전쟁을 마무리 지었고, 그 과정에서 아테네는 라이벌 스파르타를 제치고 그리스의 패권을 잡는다. 아테네는 전쟁에서 공을 세운 4만여명을 시민으로 인정했다. 민주주의 체제가 정착하게 된 계기다.

최 교수는 “스파르타에 밀리는 소국이었던 아테네가 페르시아 전쟁을 거치면서 그리스의 패권국으로 부상할 수 있었던 배경에는 다양한 민의를 수용하고 이를 정치에 반영하는 민주주의 체제가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고 총평했다.

이데일리

◇‘위대한 생각’은…

이데일리와 이데일리의 지식인 서포터스, 오피니언 리더들이 함께 만들어가는 경제 인문학 토크 콘서트입니다. 우리 시대 ‘지성인’(至成人·men of success)들이 남과 다른 위대한 생각을 발굴하고 제안해 성공에 이르도록 돕는 프로그램으로, 이데일리 창립 20주년을 맞아 기획했습니다. ‘위대한 생각’은 매주 화요일 오후 6시 이데일리TV에서도 만날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