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MS나 다른 美 기업이 틱톡 사도 된다. 단, 돈만 낸다면"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일(현지시간) 백악관 출입기자들 앞에서 "미국이 중국 소유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 '틱톡' 매각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며 사실상 매각 허용 의사를 밝혔다. 단 매각 과정에서 발생한 수익을 미국 정부가 챙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중앙일보

틱톡 로고 [틱톡]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중앙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AP=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로이터통신은 이날 트럼프 대통령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태스크포스(TF) 브리핑에서 기자들에게 틱톡이 미국 내 영업을 마이크로소프트에 매각할 경우 매각 수익의 "큰 비율(big percentage)"을 미국 정부가 받아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보도했다.

중국 테크 기업 바이트댄스와 마이크로소프트사는 현재 바이트댄스가 설립한 동영상 공유 플랫폼 '틱톡'의 미국 영업권 매각을 협상 중이다.

애초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의 본사가 중국에 있다는 이유로 틱톡 사용이 "미국인들의 정보 유출이 우려된다", "국가안보를 위협한다"고 주장해왔다. 미국 내에서 틱톡 서비스를 중단시키겠다는 방침을 공공연히 밝히고, 마이크로소프트사의 인수를 금지하려고도 했다.

그러나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중국 소유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앱)의 매각을 가능하게 할 것이며 따라서 미국은 중국으로부터든 MS로부터든 수익금의 몫을 받을 자격이 있다"는 의견을 냈다.

또 이날 낮 백악관 행사에서 기자들에게 "MS나 다른 미 기업이 틱톡을 사더라도 상관없다"며 인수 승인 의사를 밝혔다.

그러면서도 "거래는 9월 15일 전에 이뤄져야 한다"며 "그렇지 않을 경우 틱톡 사업은 문을 닫게 될 것"이라고 시한을 명시했다.

신혜연 기자 shin.hyeyeon@joongang.co.kr

중앙일보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이슈를 쉽게 정리해주는 '썰리'

ⓒ중앙일보(https://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