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MS, 틱톡 인수하면 정부에 ‘복비’ 내야”··· IT업계 “황당하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데일리 이종현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의 동영상 애플리케이션(앱) '틱톡'의 미국 내 사업 부문 인수 절차를 밟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MS)에게 '정부의 역할이 지대했으므로 정부에 중계 수수료(복비)를 지불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3일(현지시간) 외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백악관에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미국 정부가 MS에 틱톡 인수를 위한 협상 기회를 마련해줬다. 거래 가격의 상당 부분이 미국 재무부로 들어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서 그는 '틱톡은 훌륭한 자산이지만 정부의 승인을 받지 않는 한 인수할 수 없다'며 '정부가 기회를 주지 않는다면 MS는 틱톡 인수와 관련해 아무런 권리도 행사할 수 없다'고 부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일방적인 주장은 아닌 것으로 추정된다. 사티아 나델라 MS 최고경영자(CEO)는 2일 트럼프 대통령과 대화한 뒤 '대통령의 우려를 해소하는 것의 중요성을 충분히 인식하고 있다'며 '미국에 제대로 된 경제적 이익을 제공하겠다고 약속드린다'고 발표했다.

이 가운데 미국 정부의 틱톡 압박은 지속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에 9월 15일까지 미국 내 사업을 매각하라고 통보했다. 이를 넘기면 서비스를 폐쇄할 것이라고 해 사실상의 '사망 선고'다.

하지만 IT업계에서는 일련의 사태에 대해 '황당하다'고 평가한다. 당초 MS가 틱톡 인수 절차를 밟던 와중 미국 정부가 '어깃장'을 놓으며 협상에 지연이 발생했다. 미국 정부는 그저 '승인'을 해줄 뿐인데 중계 수수료를 받는다는 것이 비상식적이라는 지적이다.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의 창업자이자 CEO인 장이밍은 회사 직원들에게 편지를 보내는 방식으로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장이밍 CEO는 '지정학적 환경과 여론 환경은 갈수록 복잡해지고 있다. 일부 시장에서는 큰 외부 압력에 직면했다'며 '우리 대응팀은 가장 좋은 결과를 내기 위해 지난 몇 주간 밤낮없이 초과근무를 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그는 '미국 외국인투자심의위원회(CFIUS)는 바이트댄스가 틱톡 미국 사업을 매각해야 한다고 말한다'며 '우리는 한 과학기술업체와 협력방안에 대해 논의해 틱톡이 미국 이용자에게 계속 서비스할 수 있는 방안을 만들 것'이라고 피력했다. 직접적인 명칭을 언급하진 않았으나 '과학기술업체'는 MS를 뜻하는 것이라는 분석이다.

한편 틱톡의 금지는 개인정보보호 이슈로 시작했다.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법무부는 틱톡이 부모 동의 없이 수집한 13세 미만 아동의 개인정보를 수집했다며 570만달러 규모의 과징금을 부과한 바 있다.

미국 정부는 중국 기업인 틱톡이 자사의 데이터를 중국 정부에 전달할 것이라고 우려하고 있다. 이 경우 미국 내 이용자들의 데이터가 중국 정부에 넘어가게 된다.

중국은 '국가정보법', '반간첩법', '반테러법' 등을 통해 정부가 기업에게 데이터를 넘겨받을 수 있도록 제도화돼 있다. 중국 기업인 틱톡은 자의가 아니더라도 중국 정부에 데이터를 넘길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이종현 기자>bell@ddaily.co.kr

- Copyright ⓒ 디지털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