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전남도,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5곳 98억원 투입…주민 생명과 재산 보호

파이낸셜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무안=황태종 기자】전남도는 재해로부터 도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시스템'을 구축한다고 4일 밝혔다.

'재해위험지역 조기경보 시스템' 구축 사업은 최근 정부가 발표한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에 포함된 것으로, 태풍과 국지성 집중호우로 인한 급경사지·저수지 붕괴와 산사태, 저지대 침수 등 재해 위험 상황을 주민들에게 알려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마련됐다.

도는 총 98억원(국비 49억원, 도비 13억원, 시·군비 36억원)을 투입해 태풍, 호우 등으로 재해발생 우려가 있는 도내 25개소에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이번 투입될 사업비는 전국 총 575억원의 17%에 해당되며, 충북, 전북에 이어 세 번째로 많은 금액이다.

사업대상지는 시·군에서 건의받은 재해위험지구 11개소와 위험저수지 8개소, 급경사지 6개소 등 인명피해가 우려된 25개 지역이 우선 선정됐다.

위험지역에는 수위계와 변위계측기, 우량계, CCTV 등 각종 재해 관측 설비가 설치된다. 각 장비들에 기준 이상의 징후가 감지되면 사물인터넷(IoT)과 연결된 조기 경보시스템이 가동되고 경보알람(휴대폰 알림, 마을 방송, 전광판 표출)을 통해 주민들이 위험지역을 신속히 벗어날 수 있도록 안내해준다.

안병옥 도 도민안전실장은 "정비가 필요한 재해위험 취약지역 316곳에 대해 지속적으로 정비사업을 펼치고 조기경보시스템을 확대 설치하겠다"며 "도민의 생명과 재산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wangtae@fnnews.com 황태종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