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홍콩선거 연기=민주주의 약화' 비판에 中 "英도 미뤘잖아"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머니투데이 이지윤 기자]
머니투데이

1일(현지시간) 홍콩에서 경찰이 홍콩반환기념일 시위자를 붙잡은 모습. 2020.07.02./사진=[홍콩=AP/뉴시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당초 오는 9월 6일로 예정됐던 홍콩 입법회(의회) 선거를 1년 연기한 홍콩 행정회의(정부)의 결정에 전세계 반응이 엇갈린다. 미국과 유럽 등 서방 국가가 '민주주의 후퇴'라며 공세를 이어나가자 중국은 비판을 의식한 듯 사태를 두둔하고 나섰다.


美 이어 EU "홍콩, 민주적 권리 행사되는지 의문"

홍콩 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 등에 따르면 EU는 4일 선거 연기와 관련 "민주적 권리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달 31일 "선거 연기는 홍콩의 민주적 절차와 자유를 약화하는 일"이라는 미국 백악관의 입장 발표에 뒤이은 것이다.

EU는 성명에서 "(선거 연기는) 홍콩법에 보장된 민주적 권리와 자유가 실제로 행사되고 있는지 의문을 품게 한다"며 "최근 민주파 인사 12명에 대한 선거 출마 자격 박탈 또한 자유롭고 개방된 사회를 표방하는 홍콩의 명성을 실추시켰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가운데 서방 국가는 비판을 넘어 행동에도 나서고 있다. 프랑스는 3일 "최근의 전개 상황을 고려할 때 홍콩과의 범죄인 인도조약 비준 절차를 진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중국의 홍콩 보안법 시행과 더불어 선거 연기 결정 등의 여파로 풀이된다.


커지는 비판에…중국 "홍콩 시민 건강 위해서" 반박

반면 중국은 선거 연기 결정에 대한 지지 의사를 적극 표명하는 중이다. 홍콩 주재 중국 연락판공실은 선거 연기가 코로나19로부터 홍콩 시민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결정이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해하고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중국 관영 매체도 이러한 주장을 펴고 있다. 인민일보 자매지인 환구시보는 1일 홍콩의 코로나19 감염이 급증한 상황에서 정상적으로 선거를 치를 수 없다고 밝혔다. 이어 영국 등에서도 지방 선거가 뒤로 밀렸다고 설명하며 선거 연기에 정당성을 더했다.

한편 캐리 람 홍콩 행정장관은 지난달 31일 "지난 7개월간 내린 결정 중 가장 어려운 것"이었다며 의회 선거를 1년 연기한다고 발표했다. 람 장관은 이러한 결정이 중국 정부의 지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선거 연기의 일차적 이유는 코로나19 확산이지만, 이면엔 지난해 11월 치러진 홍콩 구의원 선거의 뼈아픈 기억이 놓여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작년 치러진 18개 자치구 의원 선거에선 민주파 진영이 452석 가운데 압도적 과반수를 차지했다.

이지윤 기자 leejiyoon0@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