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부산항일독립기념공원’ 만들자…건립 추진위 본격 활동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시스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 부산발전시민재단은 오는 13일 부산상공회의소 상의홀에서 ‘부산항일독립운동기념공원’ 건립 추진위 총회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이를 위해 지난달 17일 발기인 총회를 열어 시민단체 등이 참여하는 ‘부산항일독립기념공원 건립추진위’를 구성했다. 2020.08.04. (사진 = 부산발전시민재단 제공) photo@newsis.com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부산=뉴시스] 허상천 기자 = 부산의 독립운동 유공자들을 기리는 ‘부산항일독립기념공원’ 건립이 시민의 힘으로 추진된다.

광복회 부산지부와 부산발전시민재단은 오는 13일 오후 부산상공회의소 상의홀에서 ‘부산항일독립운동기념공원’ 건립 추진위 총회를 개최한다고 4일 밝혔다.

이를 위해 이들 단체는 지난달 17일 발기인 총회를 열어 시민단체와 전문가 등이 참여하는 ‘부산항일독립기념공원 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추진위는 첫 총회를 앞두고 “부산은 일제의 수탈에 맞서 항일운동이 거세게 타올랐던 거점이었으나 지금까지 부산에는 독립운동사와 독립운동가를 기리는 기념관이 없다”고 지적하고 “일제강점기에 국권 회복을 위해 헌신한 독립운동가의 공훈을 후세에 전하기 위해 부산항일독립기념공원 건립을 추진키로 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일제강점기 당시 부산에서는 일신여학교 만세운동, 동래고보 학생의거, 구포시장·정관좌천시장 의거, 부산항일학생운동 등 독립운동이 끊이지 않았다. 독립운동가 박재혁 의사는 1920년 9월 독립운동가를 붙잡아 탄압한 부산경찰서에 폭탄을 투척했다. 또 최천택·박차정·장건상·안희제 등 독립운동가들이 부산에서 배출됐다.

추진위는 올해 광복절을 맞아 오는 15일 시민들을 대상으로 서명과 모금 운동을 벌여 부산시에 성금을 전달할 예정이다. 또 국가보훈처, 청와대 등에 기념공원 건립 당위성을 설명하고 타당성 조사를 의뢰할 방침이다.

추진위는 기념공원 후보 터로 중구 중앙동 수미르 공원, 부산진역사, 부산 북항1부두, 부산시민공원, 동래구 명장공원 등을 꼽고 있다. 기념공원에는 독립기념관과 독립기념탑, 위패 봉안소, 참배 공원, 학습장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heraid@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