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 틱톡 외 다른 中 앱도 손보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틱톡 포함해 중국 앱들 관련 수일내 조치 취할 것"

워싱턴=CBS노컷뉴스 권민철 특파원

노컷뉴스

케일리 매커내니 백악관 대변인. (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미국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간판 소셜미디어인 '틱톡'의 미국 서비스는 9월 15일 이전까지 미국 기업에 매각돼야 한다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중국의 다른 모바일 앱에 대해서도 비슷한 조치가 뒤따를 가능성이 제기됐다.

케일리 매커내니 대변인은 4일(현지시간) 백악관 브리핑에서 '틱톡' 이슈와 관련돼 트럼프 대통령에 앞서 말하기는 싫다면서도 "미국 당국이 틱톡을 포함해 중국이 소유 중인 앱들(Chinese-owned apps)에 대해 수일 내로 조취를 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된 매커내니 대변인의 언급은 더 이상 없었다.

매커내니 대변인은 다만 중국이 무역 합의를 이행하길 독려한다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에 집중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틱톡이 대중 압박의 수단이며, 틱톡 외에 다른 앱들에 대해서도 제재할 수 있음을 명확히 한 것으로 보인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틱톡의 미국 사업 매각 추진과 관련, 마이크로소프트(MS)나 다른 미국 기업이 틱톡을 인수하더라도 상관없다면서도 '내달 15일 이전'이라는 거래 데드라인을 제시했다.

그는 특히 거래 성사에 따른 상당 부분의 수익금을 미국 정부가 받아야 한다고 주장해 논란을 일으켰다.

'수익금'과 관련해 래리 커들로 백악관 국가경제위원장은 이날 폭스 비즈니스뉴스에 출연해 "실현 가능한 구체적인 개념인지 확실하지 않다"며 "그런 조항이 핵심 조항이 아닐 수도 있다"고 진화에 나섰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