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4.27 (토)

이슈 영화 수입사들, OTT 서비스 중단 선언

"건당 3000원→100원?" 영화수입배급사, 국내 OTT 서비스 중단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파이낸셜뉴스

사)영화수입배급사협회 VOD 시장 전망과 대책 공청회(사진제공 : 수배협) /사진=fnDB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파이낸셜뉴스]국내 영화수입배급사들이 왓챠, 웨이브 등 국내 OTT(Over The Top : 인터넷으로 방송 프로그램, 영화 등 미디어 콘텐츠를 제공하는 서비스)에 영화 콘텐츠 서비스를 중단하기로 했다.

5일 영화수입배급사협회(이하 '수배협') 회원사들은 “저작권료의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을 때까지 월정액 서비스를 하고 있는 ‘왓차’ ‘웨이브’ ‘티빙’에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국내 OTT 서비스가 급성장함에 따라 IP-TV 및 VOD 등 영화 부가서비스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기존 부가판권 시장에 위기가 닥치면서 콘텐츠 저작권자의 수입이 크게 줄어 들어 도산 위기가 감도는 실정이며, 이는 영화시장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최근 코로나19 여파 속에 개봉한 '#살아있다'가 VOD 판매 덕분에 손익분기점을 넘긴 것과 같이 갈수록 한편의 영화가 극장 개봉만으로 손익분기점을 넘기는게 힘들며, 특히 수입영화들은 설자리는 더 좁다.

사단법인 영화수입배급사협회(회장 정상진)는 지난 7월 17일 극장 아트나인에서 ‘변화하는 한국 영화시장의 독자적 VOD 생존방법, VOD 시장의 붕괴를 막을 수 있는 대처 방안'이라는 제목으로 공청회를 열고, OTT 서비스 중단을 결정했다.

이날 모인 수배협 회원사들은 “영화 콘텐츠에 대한 합당한 대가를 지불하거나, 영화만을 위한 개별 과금 시스템 마련 및 투명한 정산 시스템을 공개할 때까지 콘텐츠 공급을 중단할 것”에 의견을 모았다.

또 “한국영화산업에서 디지털 유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대공청회"를 제안했다. "8월중 대공청회를 열고, 제작사, 배급사, 수입사, 디지털 유통사, 플랫폼사 등이 모두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요청한다”고 부연했다.

앞서 수배협은 지난 2016년 10월, 극장과 디지털 플랫폼 간 정상적인 유통질서를 확립하고 영화 판권에 대한 정당한 권리 보장을 위해 창립했다.

현재 국내 디지털유통시장은 IP-TV(KT, SK, LG), 홈초이스 등에서 채택하고 있는 VOD(Transactional Video On Demand : 건 별 영상 주문 방식) 시장 중심으로 형성되어 있다. 영화를 한편 볼 때마다 1건 별로 결재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넷플릭스의 등장과 함께 OTT 시장이 크게 성장하며 국내 영화 부가 판권 시장에 큰 지각변동이 일어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여파로 이들 OTT 업체의 가입자수는 더욱 늘었다.

영화 생산자는 매출 감소, 플랫폼은 급성장 기형구조

OTT 서비스는 콘텐츠 관람료를 월별 정액제 방식으로 정산한다. OTT의 S VOD(SubscriptionVideo on Demand 예약 주문형 방식)는 월 일정의 금액(정액제)을 내고 영상 콘텐츠를 무제한으로 관람하는 방식이다. 비단 영화뿐 아니라 TV드라마, 예능 등 모든 콘텐츠를 관람할 수 있다.

문제는 콘텐츠 저작권자에게 지급되는 저작권료의 배분 방식이다. 특히 영화 콘텐츠에게 절대적으로 불리한 배분 방식이라는 게 수배협의 지적이다.

TV드라마, 예능의 경우 1시간 이하의 런닝타임과 전 편을 관람하기 위해 여러 회차를 봐야 하지만, 영화의 경우 2시간 단 한번의 관람으로 끝나기 때문에 전체 매출에서 관람 회차 수 비율 나누는 정산 방식은 상대적으로 불리할 수밖에 없다.

즉, 영화 한편을 보는데 IP TV 등의 T VOD 방식으로 건당 3,000원이 결재된다면, 국내 OTT S VOD 서비스의 경우는 편당 100원 이하의 저작권료가 발생될 수 있다.

이날 현장에 참석한 수배협 회원사들은 만약 월정액을 중심으로 한 OTT VOD 서비스가 디지털유통시장의 대세로 자리 잡을 경우, 영화 부가서비스 시장에 심각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한 목소리로 우려했다.

월 정액 1만원으로 무제한의 영상 콘텐츠 관람은 콘텐츠 저작권자에게는 저작권료 수입이 30분의 1로 줄어들어 도산하는 결과를 낳게 될 수도 있으며, 이는 결국 다양한 콘텐츠 생산과 소비를 불가능하게 하여 관련 산업 전체의 위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극장 이외의 부가 판권 시장이 그나마 살아 있는 곳은 T VOD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는 한국과 미국 정도이며, OTT VOD 서비스가 발달한 일본과 동남아 등은 부가판권 시장의 몰락과 이 영향으로 인해 자국 영화시장이 위축되고 있는 추세다.

수배협 측은 “이제 극장 개봉만으로 영화를 제작하고 수입하는 시대는 끝나가고 있다”며 “코로나19로 대변되는 비대면 사회는 영화계 전체로 확대될 것이고 기왕에 세계적인 디지털 인프라를 갖고 있는 우리 에게는 오히려 큰 기회가 될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콘텐츠 가치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정당한 대우가 전제되어야 만 한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수배협 회원사들의 입장.

1. 저작권료의 정당한 가치를 인정받을 때까지 월정액 서비스를 하고 있는 ‘왓차’ ‘웨이브’ ‘티빙’에 콘텐츠를 제공하지 않을 것이다. 영화 콘텐츠에 대한 합당한 대가를 지불하거나, 영화만을 위한 개별 과금 시스템 마련 및 투명한 정산 시스템을 공개할 때까지 콘텐츠 공급을 중단할 것이다.

2. 이를 계기로 수입배급사협회는 한국영화산업에서 디지털 유통시장의 활성화를 위한 대공청회를 8월중 제안한다. 여기에는 제작사, 배급사, 수입사, 디지털 유통사, 플랫폼사 등이 모두 참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요청한다.

jashin@fnnews.com 신진아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