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6 (수)

`OO역 2번출구, 몰카 조심`…이젠 웹으로 `몰카위험도` 알려준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경찰청-KT 연계 개발한 ‘지하철 불법촬영 위험도’

7일부터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와 연계

수도권 지하철역 및 출구 별로 위험등급 확인 가능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00역 2번 출구, 불법촬영 조심하세요.”

앞으로 디지털 성범죄(불법촬영)에 취약한 지하철 노선이나 출구 등을 웹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데일리

△지하철 위험도 화면 (자료= 경찰청)




경찰청은 지하철 내 발생하는 불법촬영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KT와 협업해 개발한 ‘지하철 불법촬영 위험도’가 오는 7일부터 안전 관련 대국민 서비스를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에 연계될 예정이라고 6일 밝혔다.

지난해 3월 개발한 지하철 불법촬영 위험도는 수도권 지하철역과 출구 별로 범죄 위험 등급을 1(높음)~5(낮음) 단계로 구분해 나타낸 지표다. 이 지표는 지하철에서 발생한 디지털성범죄 건수와 해당 지하철의 유동인구 속성, 환승역 속성, 배후지 등 영향도가 높은 총 14개의 변인을 활용해 만들어진다.

이는 지난해부터 경찰청에서 운영 중인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Geo-Pros)’ 내에 탑재돼 지하철 경찰대 등 경찰관의 순찰 및 예방 업무에 활용돼 왔다. 하지만 이를 행정안전부(국립재난안전연구원)에서 운영하는 생활안전지도와 연계하면서 일반 국민들도 지하철 불법촬영 위험도를 직접 조회할 수 있게 된다.

이를 통해 자신이 이용하는 지하철의 불법촬영 범죄 위험도를 찾아 확인할 수 있다. 경찰 관계자는 “불법촬영 범죄는 불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 등을 통해 빠르게 유포되고 피해회복이 어렵다는 점에서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 훨씬 효과적”이라고 밝혔다.

구체적인 내용은 오는 7일부터 신설된 생활안전지도 홈페이지의 ‘불법촬영 위험도’ 메뉴에서 확인할 수 있다. 경찰청은 사이트 접속 QR코드 배포를 통해 홍보활동에 나설 예정이다.

경찰청 관계자는 “앞으로도 경찰청은 유관부처와 협업을 통해 불법촬영 범죄와 같은 대(對) 여성범죄에 적극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