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대한항공 2분기 영업익 1485억원…"화물이 살렸다"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CBS노컷뉴스 김연지 기자

노컷뉴스

(사진=대한항공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대한항공이 코로나19 여파에도 올해 2분기에 1500억원에 달하는 영업이익을 달성했다. 좌석을 뜯어내면서까지 화물을 채우는 등 화물기 운항에 집중한 데다 임직원 휴업 등 비용 절감 노력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대한항공은 별도 재무제표 기준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1485억원으로 잠정 집계돼 작년 같은 기간(-1015억원)과 비교해 흑자 전환했다고 6일 공시했다.

2분기 잠정 매출액은 1조 6909억원으로 작년 같은 기간(3조 201억원)보다 44% 감소했지만, 당기순이익은 1624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전세계적인 코로나19 확산으로 여객 수요가 급감해 매출액이 반 토막 났지만, 유휴 여객기를 이용한 화물 수송 등으로 화물 공급을 늘리고 연료비와 인건비를 포함한 영업비용(1조 5425억원)을 작년(3조 1216억원)의 절반 수준으로 줄인 덕분이다. 영업이익률은 8.8%다.

화물 사업의 경우 여객기 운항이 급감해 벨리(여객기 하부 화물칸) 수송이 어려워졌지만 대신 화물기 가동률을 작년 같은 기간보다 22% 늘렸다고 대한항공은 설명했다. 화물 수송실적은 작년 동기 대비 17.3% 증가했다.

이에 따라 화물 부문 매출액은 작년 같은 기간(6299억원)의 배에 달하는 1조 2259억원을 기록했다.

노컷뉴스

(사진=대한항공 제공)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반면 여객 사업의 경우 모든 노선의 수요가 줄어들며 수송실적이 작년 동기 대비 92.2% 감소했다.

다만 4월 이후 제주 노선을 중심으로 국내선 수요가 회복세를 보이고, 6월 이후 국제선에서도 소폭이나마 수요가 개선되고 있다고 대한항공 측은 설명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하반기에도 코로나19 영향이 지속해 어려운 영업 환경이 예상된다"며 "하지만 고효율 대형 화물기단의 강점을 십분 활용해 방역물품과 전자 상거래 물량, 반도체 장비와 자동차 부품 수요 등을 적극 유치해 수익 극대화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한항공은 여객기 좌석을 떼어내 화물기로 활용하는 방안을 추진해 추가로 화물 공급을 늘려나갈 예정이다.

대한항공은 이 밖에도 '케어 퍼스트'(Care First) 프로그램을 통해 철저한 방역에 힘쓰는 등 항공 여행에 대한 고객의 막연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데 주력하고, 향후 수요 회복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저작권자 © CBS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