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강세 토픽] 2차전지 - 소재·부품 테마, 솔브레인홀딩스 +23.41%, KG케미칼 +21.01%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2차전지 - 소재·부품] 테마가 강세다. 전일 대비 2.58% 상승세이다. 솔브레인홀딩스 +23.41%, KG케미칼(001390)+21.01%, 엘앤에프(066970)+5.00% 등이 테마 상승을 이끌고 있다.

테마 설명

전세계적 환경규제 강화 추세로 글로벌 에너지 활용의 중심이 화석연료에서 친환경으로 이동하는 중. 이에 따라 전기차 시장 급성장 중.
일반적으로 언급되는 전기차는 100% 모터로만 움직이는 순수 EV(전기차)를 의미. 엔진이 들어가지 않기 때문에 내연기관이 없고, 배터리(2차전지)만 들어감. 2차전지란 2차전지란 한 번 쓰고 버리는 것이 아니라, 충전을 통해 반영구적으로 사용하는 전지를 의미.
이에 따라 내구성과 안전성을 충족시킬 수 있는 부품소재에 대한 중요성 부각. 전기차 핵심부품은 에너지를 담는 2차전지인 리튬이온전지. 이는 양극재와 음극재, 분리막, 전해질로 구성.
글로벌 전기차 시장은 2040년에 판매되는 승용차의 57%, 전 세계 승용차의 30% 이상이 전기차가 될 것이고, 새로 판매되는 시내버스의 전기차 비중은 81%에 달할 것으로 전망. 또한 미국과 중국의 상업용 자동차 시장에서는 경량급에서 56%, 중형에서는 31%가 전기차가 될 전망(BNEF).
(마지막 업데이트 2020. 8. 5)

※ 토픽은 종목 추천이 아닌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함. 상기 종목의 투자로 인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음.

관련 종목

종목등락률종목설명
솔브레인홀딩스+23.41%2차전지용 전해액 생산 주력하는 회사로, 관련 기업 중 국내에서 유일하게 상장.
KG케미칼(001390)+21.01%2차전지 양극활물질 원료인 고순도 황산니켈을 생산하는 에너켐 지분(60%) 인수. KG케미칼은 3년 내에 2차전지 소재 매출 비중을 30%까지 늘리는 투자와 연구개발에 집중할 방침.
엘앤에프(066970)+5.00%NCM 계열 2차전지 양극활 소재 생산기업으로 LG화학·삼성SDI 등을 주요 고객으로 두고 있음.
삼화콘덴서(001820)+3.44%전기 자동차 2차전지의 전압을 상승, 유지시켜주는 DCLC(DC-Link Capacitor) 부품 생산.
나노신소재(121600)+3.20%음극재용 CNT(탄소나노튜브) 도전재를 세계 최초로 상용화한 업체. CNT 도전재는 기존 도전재보다 배터리의 안전성, 효율성, 경제성 측면에서 우위. 셀 메이커들의 채용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
코스모신소재(005070)+3.14%2차전지용 양극활물질 생산.
삼기오토모티브(122350)+2.91%알루미늄 다이캐스팅 전문기업. 자동차 부품 및 합금이 주 제품. LG화학에 전기자동차 배터리 부품 2종을 공급하는 계약 체결.
에코프로(086520)+2.77%2차전지용 양극활물질과 전구체 제조사로, 국내외 전기차용 배터리에 채택되고 있음.
새로닉스(042600)+2.58%2차전지 양극활소재 생산기업 엘앤에프를 자회사로 보유. 지분율은 16.3%
포스코케미칼+2.51%포스코의 철강 생산용 내화물 제조가 주력 사업이나, 전기차용 2차전지 음극재도 생산.
유에스티(263770)+2.23%스테인리스 강관 제조사. 기업인수목적회사 신영스팩 3호와 합병을 통해 상장. 전기차용 2차전지 핵심부품인 하이브리드 분리막 개발.
상아프론테크(089980)+2.21%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이용해 배터리 전해액 누수방지 부품을 만들어 삼성SDI에 공급 중.
일진머티리얼즈(020150)+2.17%2치전지용 동박 글로벌 1위 기업으로, 삼성SDI와 중국 기업인 BYD가 주 고객사. 美 테슬라와 日 파나소닉으로부터 기술 승인 받음.
에코프로비엠+2.09%모회사 에코프로 이차전지 소재사업 부문을 물적분할한 회사로 NCA와 NCM을 동시에 하이니켈계로 양산하는 양극재 업체. 2차전지 배터리의 특성을 결정짓는 핵심소재인 양극재 생산. 국내 유일하게 니켈 비중이 80% 이상인 하이니켈계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활물질 생산. 전기차용 니켈코발트망간(NCM) 811 양극재를 세계 최초로 양산.
상신이디피(091580)+1.79%소형가전 제품에 주로 쓰이는 리튬이온 2차전지 생산업체. 삼성SDI에서 진행하는 PHEV/EV용 2차전지CAN 개발업체로 선정. 삼성SDI 中 시안공장에 전기차용 2차전지 캔(양극재,음극재,전해액 담는 케이스) 공급.
천보(278280)+1.73%2차전지 (전해질)소재, 디스플레이·반도체 공정 소재, 의약품 공정 소재 등 첨단 소재 전문 기업. 특히 전기차용 2차전지 전해질 소재 세계 최초 상용화. 디스플레이 제조 공정 핵심 소재(ATZ) 세계 시장 점유율 95% 등 고품질 제품 개발·생산을 통해 글로벌 시장 선점 및 독점적 시장 지위.
유라테크(048430)+1.62%모회사 유라코퍼레이션이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차에 들어가는 고전압 케이블, 커넥터 등을 개발.
쎄미시스코(136510)+1.23%반도체, 평판 디스플레이(LCD, OLED 등) 공정장비 제조사. 2018년 제2차 소재부품기술개발 국책연구개발사업 지원 대상 업체로 선정. 조달청과 초소형 전기차 ‘SMART EV D2’ 1000대 공급 계약 체결.
엠케이전자(033160)+0.97%반도체 재료인 본딩와이어·솔더볼 제조사이나, 2010년 국책과제 참여기업으로 선정돼 오는 2019년까지 고에너지 2차전지용 전극 음극소재 개발.
영화테크(265560)+0.64%자동차 전장 부품인 정션박스와 전기차 및 이차전지 부품인 고전압용 컨버터, 충전효율 향상 부품인 OBC(On Board Charger) 등을 생산
스카이이앤엠+0.60%2차전지의 주 원료인 전해액 소재와 LCD, 반도체 공정소재 생산.
코스모화학(005420)+0.50%국내 유일의 황산 코발트 생산업체인 코스모에코켐을 종속회사로 보유. 황산코발트는 산화 코발트를 황산에 녹이고 굳혀 만든 제품으로, 2차전지 양극활성물질을 만드는 핵심 원료. 합성수지, 고무, 제지, 페인트, TV브라운관 등 산업전반에 사용되는 이산화티타늄(아나타제, 루타일)도 국내 독점 생산.
아이티엠반도체+0.46%2차전지 보호회로 글로벌 1위 기업. 세계 최초로 2 차전지 보호회로의 핵심부품인 보호소자와 스위칭소자를 하나의 Chip 으로 패키징 한 제품(POC)을 개발했으며 2세대 제품인 PMP (Protection Module Package)는 2 차전지 보호회로를 반도체화한 세계 유일의 제품. PMP는 스마트폰 및 소형 IT기기에 사용.
아모그린텍+0.37%나노 소재 기반의 첨단 소재 및 부품 기업. 전기차, 5G, ESS, 차세대 IT 분야에 사용되는 나노자성소재, 나노방열솔루션, 나노멤브레인, 플렉시블 배터리 등 다양한 소재와 부품을 개발. 주요 고객사로 삼성전자, KT, TESLA 등 보유. 국내 최초, 세계에서는 세 번째로 고효율 자성소재를 개발. 국내외 특허 1100여건 보유.
뉴인텍(012340)+0.31%전기차용 콘덴서 관련 특허 보유하고 있으며, 제품 생산 본격화.
제낙스(065620)0.00%초극세금속섬유, 스테인리스 강판을 머리카락 10분의 1 두께로 가공해 다양한 형상의 2차 전지를 만들 수 있는 메탈파이버 기술 개발.
서진시스템(178320)-1.42%알루미늄 가공업체로 주요제품은 통신장비함체·모바일케이스. 자회사 텍슨(지분율 88.4%, 2018.04.09)을 통해 반도체·이차전지 알루미늄 소재 시장 진출.
신흥에스이씨(243840)-1.59%원형 및 각형 2차 전지의 전류차단장치, 뚜껑 역할의 Cap Ass'y 등을 생산. 주요 고객사는 삼성SDI, 상아프론테크, 상신이디피 등.
후성(093370)-1.75%2차전지용 전해질을 국내에서 유일하게 생산하고, 경쟁사는 일본 기업.
테라사이언스-2.09%주 업종은 건설중장비 부품 생산이나 친환경차에 쓰이는 리튬이온전지 용량을 4배 이상 늘릴 수 있는 규소산화물 나노 분말 제조 기술을 한국에너지기술원으로 부터 이전받아 사업화 진행중.
삼진엘앤디(054090)-2.19%2차전지의 뚜껑 역할하는 가스켓을 제조해 전체 물량의 70%를 삼성 SDI에 공급.

2차전지 - 소재·부품 테마 차트



조선비즈

3개월 등락률 +53.6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개월 등락률 +21.60%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조선비즈

1주 등락률 +9.57%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이 기사는 증권플러스(두나무)가 자체 개발한 로봇 기자인 'C-Biz봇'이 실시간으로 작성했습니다.]

C-Biz봇

<저작권자 ⓒ ChosunBiz.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