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정부 "전공의 집단휴진 유감…약한 환자들이 피해봐선 안돼"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집단행동, 환자들이 억울하게 피해보는 극단적 방식"

"소통협의체 통해 전공의 지원방안 논의 이어갈 것"

[이데일리 안혜신 기자] 정부가 의료계와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입장을 재차 밝혔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은 7일 정례브리핑에서 “의대정원 증원 문제와 무관한 환자들이 억울하게 피해를 볼 수 있는 극단적인 방식 대신 대화와 소통을 통해 의료현장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것을 간곡히 요청한다”면서 “정부는 의료계에서 제안하는 지역의료의 육성과 의료전달체계의 개선, 전공의 교육 수련 환경 개선 등의 필요성을 공감하고 있으며 의료계 등 각계의 의견을 수렴해서 개선방안을 수립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대한전공의협회는 최근 정부의 의대 증원 방안 등에 반발해 이날 오전 7시부터 24시간동안 전면 파업에 돌입했다. 특히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필수인력까지 모두 집단 행동에 들어가면서 진료 공백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이다.

김 차관은 “여러 차례 대화와 협의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오늘 전공의들의 집단휴진에 대하여 안타깝게 생각한다”면서 “특히 응급실과 중환자실 등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필수진료까지 포함해 진료를 중단하는 점에 대해서 정부는 매우 유감스럽게 보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이날 전공의 파업에 대비해 대체인력을 확보하고 근무 순번을 지정하는 등 진료공백 방지를 위해 준비한 상태다. 특히 응급의료기관은 차질 없이 운영되도록 근무인력을 확보하게 조치했고 응급의료정보센터 홈페이지와 응급의료정보제공앱을 통해서 진료상황을 확인할 수 있다.

김 차관은 “정부는 이미 지역가산제도와 지역우수병원 등을 통한 지역의료 강화방안을 제시한 바 있으며 의료계와 협의를 통해 좀 더 나은 정책을 마련해 나가기를 희망한다”면서 “전공의협의회와는 이미 소통협의체 구성에 합의해 전공의 교육 수련 환경 개선과 이에 대한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를 이어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대한의사협회에서 요청한 소통협의체 제안을 수용해 협의체를 구성해 보건의료 발전을 위한 의료계의 제안과 개선사항을 함께 논의할 것을 재차 요청한다”면서 “어떤 경우에도 국민의 건강과 안전이 위협받아서는 안 되며, 특히 아프고 약한 환자들이 피해를 보는 일이 있어서는 안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데일리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