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9 (토)

이슈 틱톡의 새 주인 찾기

트럼프의 가차 없는 공격, 틱톡뿐 아니라 위챗도 금지(종합2)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와 중국 동영상 공유 소셜미디어 앱 틱톡. © AFP=뉴스1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중국 소셜미디어인 틱톡과 위챗, 그리고 모회사인 바이트댄스와 텐센트의 미국 내 거래를 전면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발효일은 앞서 트럼프 대통령이 틱톡 퇴출·매각 시한으로 제시한 9월15일이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성명에서 "미국은 우리의 국가 안보를 지키기 위해 틱톡 소유주들에 공격적인 조처를 해야 한다"며 행정명령을 발표했다.

행정명령에는 45일 후부터 미국 관할권 내에서 행해지는 바이트댄스, 위챗, 텐센트와의 모든 거래 행위를 금지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트럼프 대통령은 "틱톡은 중국 공산당에 이익이 되는 허위정보 캠페인에 사용될 여지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구체적으로 "중국이 틱톡 데이터를 이용해 연방정부 직원과 계약업체들의 위치를 추적해 공갈 협박하거나 기업 스파이 행위를 할 수 있다"고 추측했다.

위챗에 대해서는 "위챗이 방대한 양의 사용자 정보를 자동으로 수집하는데, 이렇게 되면 공산당이 미국인들의 개인 정보에 접근할 위협이 있다"고 주장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틱톡과 위챗을 직접 거론하며 "신뢰할 수 없는" 중국 앱을 제거하겠다고 공언해 왔다. 중국 정보기술(IT) 기업들이 중국 공산당과 연계돼 있어 사용자 정보를 유출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런 이유로 미국은 전방위적으로 중국 앱을 압박하고 있다. 미 국방부·국무부·국토안보부·교통안전청 등은 부처 단위로 틱톡 사용을 금지하고 있고, 전날 미 상원에선 미국 연방정부 공무원의 틱톡 사용을 금지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틱톡·위챗 사용 금지 행정명령은 코로나19·기술 스파이·무역전쟁·홍콩 등을 두고 1979년 국교 정상화 이후 최악으로 치닫고 있는 미중 관계에 추가 악재가 될 전망이다.

중국이 애플 등 미국 기업에 보복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애플과 인텔, 구글 등 주요 IT 기업을 회원으로 둔 미 싱크탱크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대니얼 카스트로 부회장은 "틱톡 퇴출로 미국 IT 기업은 물론, 글로벌 비즈니스 규범마저 위태로워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실제 중국 외교부는 지난 4일 틱톡에 대한 미국의 강제 매각 압박에 "판도라의 상자를 열지 말라. 후폭풍을 감당해야 할 것"이라며 보복 조치를 강력히 시사했다.
angela0204@news1.kr

[© 뉴스1코리아(news1.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