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02 (일)

북부산림청, ‘북부권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 기본도’ 제작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원주=서정욱 기자】 북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7일 경기·강원지역에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선제적인 예찰·방제를 위한 ‘북부권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 기본’를 제작하였다 고 밝혔다.

파이낸셜뉴스

7일 북부지방산림청(청장 최수천)은 경기·강원지역에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에 대한 체계적인 전략 수립과 선제적인 예찰·방제를 위한 ‘북부권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 기본’를 제작하였다 고 밝혔다. 사진=서정욱 기자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7일 북부지방산림청에 따르면 이번에 출간한 북부권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 기본도는 경기·강원지역에 발생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를 위한 전략도면으로, 책자·JPG·SHP파일의 형태로 각각 제작하여 담당자가 계획수립부터 실시설계, 소나무류 보호·관리대책마련 등 현장업무에 다방면으로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고 밝혔다.

이번에 제작된 기본도는 23개 시·군의 피해특성을 반영하여 4개 주제도로 구성, 지형도에 최근 3년간 발생한 피해고사목, 반출금지구역, 도로망, 감시초소 위치를 표시하여 소나무재선충병 피해현황과 확산추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또, 피해확산 위험요소인 피해고사목, 소나무류 단순림, 도로변, 목재취급업체, 화목농가, 조경업체 정보를 중첩하여 위험도에 따라 선택과 집중을 통한 예찰·단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 GIS 가시권분석을 통하여 가시권 지역에는 지상정밀예찰을 비가시권은 항공(드론) 예찰을 집중지역으로 지정하여 과학적이고 효율적인 예찰이 가능하도록 제작됐다.

또한, 소나무류 임상도에 방제 우선순위, 예방나무주사 대상지, 책임공동방제구역을 표시하여 연접 시·군간 사각지대 없이 체계적인 방제가 될 수 있도록 제작됐다.

최수천 북부지방산림청장은 “이번에 제작된 소나무재선충병 방제전략 기본도가 현장업무에 도움이 되기를 바라며, 지자체와 협업을 통한 책임방제 등 체계적이고 선제적인 소나무재선충병 예찰·방제로 산림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syi23@fnnews.com 서정욱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