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7 (월)

"의대 증원 재논의 없으면 단체 행동 지속"…전공의, 결의 나서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7일 전면 휴진 돌입 전공의들, 거리로 나서

정부에 의대 정원 확대·공공의대 설립등 전면 재논의 요구

요구사항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단체행동 지속 결의

[이데일리 함정선 기자] 7일 오전 7시부터 전면 휴진에 돌입한 전공의들이 이날 오후 2시 서울 영등포구 여의대로 에 모여 단체 행동에 나섰다.

이들은 정부의 의대 정원 증원에 반대하며 정부가 의대 정원 확대와 공공의대 설립, 한방첩약 급여화에 대해 전면 재논의할 것을 요구하고 이 같은 요구사항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단체행동을 멈추지 않을 것을 결의했다.

또한 모든 의료 정책을 수립할 때 젊은 의사와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하라고 요구했으며 수련병원을 통한 협박과 전공의들을 상대로 한 언론플레이를 즉시 중단하라고 강조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는 대정부 요구안을 마련하고 정부에 4000명 의대 정원 확충과 첩약 급여화에 대한 집착을 버려달라고 밝혔다.

협의회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에는 보건의료 인력 종합계획을 수립하라고 돼 있지만 인력 추계는 되지 않았다”며 “늘어난 의사를 어느 지역에 어느 기준으로 분배할 것인지도 결정돼 있지 않고 10년간 지역에서 근무 후 당연하게 수도권으로 집중되는 부작용에 대한 대책도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협의회는 첩약 급여화에 대해 “값비싼 항암제로 고통받는 환자들이 있는데 유효성과 안전성이 확인되지 않는 첩약에 대한 급여화는 우리를 절망스럽게 한다”며 “아무런 기준도, 계획도 없이 이렇게 소통없이 진행되는 게 힘의 논리로 결정되는 것은 아닌지 불안하다”고 토로했다.

이어 협의회는 근로 공백을 메우는 것이 아니라 전문 교과 수련을 할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협의회는 “전공의는 살인적은 근무에 시달리고 있다”며 “불완전한 교고고정 때문에 매해 무슨 내용을 공부하고 무슨 술기를 익혀야 하는지 알지 못하며 너무 바쁜 지도 전문의의 지도를 받지 못한다”며 “일주일에 100시간 이상 일하며 폭력과 갑질을 당해도 밝히지 못하고 최저임금도 보장받지 못하는데 현실을 개선하지 않으면 아무리 의대 정원의 증가하고 공공의대를 도입해도 의료 환경이 개선되지 못한다”고 비판했다.

협의회는 구체적인 요구사항으로 △의대 정원 확충과 공공의대 등 최근 이슈에 대해 모든 가능성을 열어둔 소통 창구 △전공의가 포함된 의료정책 수립·시행 관련 전공의-정부 상설소통기구 설립 요청 △전공의 수련비용 지원, 지도전문의 내실화, 기피과에 대한 국가 지원 등 ‘전공의 수련 국가책임제’ 요청 △전공의가 최소한의 인간적인 환경에서 수련받을 수 있도록 전공의 관련 법령 개정 등을 들었다.

한편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이날 여의대로 외에도 △부산·울산·경남(벡스코) △광주·전남(김대중컨벤션센터) △대전·충청(대전역 서광장) △제주(제주도의사회관) △강원(강원도청 앞) 등 지역별로 같은 시간 야외 집회를 동시에 열었다.

이데일리

7일 오후 서울 여의도공원 입구에서 대한전공의협의회 관계 학생들이 정부의 의사 정원 확대안에 대해 반대하며 단체행동을 하고 있다.(사진=연합뉴스)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