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6 (일)

산사태로 전국 모든 산지가 위험···선제적 대피 필수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산사태 인명피해 사망·실종 6명, 산사태 피해 1,079건

서울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산림청은 기록적인 강우량과 장마 기간으로 인해 9일 현재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로 사망·실종 6명(사망 4, 실종 2), 부상 4명이 발생했고 6월부터 현재까지 산사태 피해는 전국적으로 1,079건에 이른다고 10일 밝혔다.

또한 산지 태양광발전시설의 경우 전체 1만2,721개소중 12개소(0.09%)에서 피해가 발생했다.

이번 장마는 중부지방에서 6월 24일 시작된 이후 8월 10일까지 48일째 이어지면서 평년(1981~2010년) 장마 기간인 32일을 훌쩍 넘어섰다.

6월 24일부터 8월 9일까지 전국 평균 강수량이 2013년 최장 장마 기간(49일) 전국 평균 강수량 406.5㎜의 두 배인 약 750㎜를 기록하며 현재 우리나라 산은 물이 완전히 포화된 상태로써 산사태에 매우 취약한 상황이다.

특히 이번 태풍 ‘장미’가 동반하는 추가 집중호우로 대규모 산사태 발생 우려가 있다.

산림청은 태풍 북상에 대비해 산지 태양광발전시설로 인한 산사태 예방을 위해 ‘산지특별점검단’을 구성해 지난 5일부터 9일까지 민가 등과 300m 이내 인접한 2차 피해 우려 지역 2,180개소에 대한 점검을 완료했다.

산림청은 이미 누적된 강우가 전국적으로 많은 가운데 강풍과 폭우를 동반한 태풍까지 북상하고 있어 전국 어느 지역이나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산사태로 인한 더 이상의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고 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모든 행정력을 총집중하고 있다.

산림청은 9일 오후 5시 산림청장 주재로 제5호 태풍 ‘장미’ 북상 대비 상황판단회의 실시 후,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가 추가적으로 발생하지 않도록 일선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선제적으로 산사태 피해 우려지역 주민들을 안전한 곳으로 대피시킨 바 있다. 9일 오후 4시 기준으로 전국에 대피중인 산사태취약지역 주민은 1,571명으로 집계되고 있다.

박종호 산림청장은 “산사태로 인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해서는 과하다 싶을 정도의 선제적인 사전대피가 가장 중요하다”며 “특히 누적된 강우량으로 지반이 약해진 상태에서 폭우와 강풍을 동반한 태풍이 북상하고 있는 만큼 산지 주변 산사태 피해 우려 지역에 거주하고 계시는 주민들께서는 산사태 예보, 기상특보, 대피방송 등 안내에 귀 기울여주시고 그 외 지역에서도 산사태 징후 등 작은 위험이라도 감지되면 신속히 대피해 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대전=박희윤기자 hypark@sedaily.com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