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오보청 논란에 국민들 해외 기상청 찾아…"더 정확"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낮은 정확성으로 오보청 논란에 휩싸인 우리 기상청을 두고 국민들이 해외 기상청을 찾기 시작했다.

노르웨이를 비롯한 핀란드, 미국, 영국의 예보가 정확하고 편리하다는 입소문을 탔기 때문이다.

기상청은 지난 9일 오후 9시 서울에서 비가 내릴 확률이 80%, 예상 강수량은 40~69㎜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노르웨이 기상 앱 'YR'은 지난 9일 오후 9시 서울의 예상 강수량이 2㎜라고 예보했다.

기상청보다 노르웨이 기상청의 예보가 더 정확했다.

실제 지난 9일 오후 9시 서울에서는 비가 거의 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차이에 대해 다양한 이유가 제시된다.

첫째, 기상청은 우리의 기상 위성인 천리안위성 2A호에서 받는 자료를 토대로 예보하는 반면, 해외 기상 앱은 다른 위성 자료를 토대로 한다.

예를 들어 체코의 윈디는 유럽 중기예보센터에서 활용하는 유럽연합(EU) 기상 위성인 EUMETSAT이 관측한 자료를 활용한다.

이는 더욱 상세한 예보를 돕는다.

둘째, 예보 횟수의 차이다.

기상청은 강수량 자료를 6시간 단위로 예보하는 반면, 윈디나 YR은 1시간 단위로 예상 강수량을 예보해 준다.

셋째, 디자인의 차이이다. 정확성 외에도 해외 기상 앱의 색감 등이 사람들을 끌어모으는 것이다.

한편, 연일 신문과 뉴스가 오보청을 강조하는 상황에서도 우리 기상청은 과거부터 지금까지 정확성 제고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먼저 복잡한 기상·기후 시스템을 포함한 수치 모델을 개발하였으며, 자료 동화 기술의 발전을 통해 관측 및 수치 모델의 접근성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정확한 해석을 도모하였다.

이를 통해 단기예보는 더욱더 세밀하게, 중·장기 예보는 예측의 불확실성을 고려하는 앙상블 예보가 실용화되었다.

또한, 인공지능 기술을 도입한 AI 예보관 알파 웨더의 개발도 이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노력을 고려할 때 질타보다는 우리 기상청을 믿고 기다려주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기상청에 대한 강한 질타가 노력하고 있는 기상청에 부담을 주어 외려 정확성을 낮출 수도 있다는 이유에서다.

[서윤덕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