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27 (목)

50일 넘게 쏟아지는 비…文 "가용자원 총동원해 재정지원"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피해복구의 핵심은 속도"라며 "예비비와 재난지해기금 등 가용자원을 총동원해 충분한 재정지원을 강구해달라"고 지시했다. 이날 문 대통령은 집중호우 긴급점검 국무회의를 주재하며 "이제 피해 복구에 총력을 기울여야할 때"라며 이같이 말했다.

매일경제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50일 넘게 이어지는 호우로 전국적인 피해가 확산되는 가운데 문 대통령은 이달 초 하계휴가를 취소한데 이어 연일 수해피해 복구 지원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정부도 지난 7일 집중 피해를 입은 경기 안성시, 강원 철원군, 충북 충주시, 충남 천안시등 7개 시·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다.

문 대통령은 "이번 장마는 가장 오랫동안, 가장 늦게까지 지속된 장마로 기록됐다"며 "피해규모도 매우 심각해 9년만에 가장 많은 인명피해를 입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부는 마지막까지 긴장의 끈을 놓지 말아야 한다"며 "장마가 완전히 물러날 때까지 비상근무체제를 유지하며 추가적인 피해가 없도록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특히 문 대통령은 "정부는 도로와 철도, 댐과 제방 등 주요시설과 침수된 주택과 상가, 농경지 등을 복구하는데 범정부적 역량을 모아달라"고 주문했다. 최근 호우 피해로 농수산물 물가가 급등한 것과 관련해 문 대통령은 "농수산물 수급 불안과 가격 변동이 서민들의 장바구니 물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며 "공공비축물량 출하 등 필요한 조치를 선제적으로 취해달라"고 당부했다.

문 대통령은 피해복구와 함께 매년 반복되는 수해 예방을 위한 선제적 조치도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안전과리 기준을 새롭게 정비하고 피해 시설물 복구에도 강화된 안전기준을 적용해 앞으로 닥칠 재난 상황에 대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SOC 디지털화를 통해 주요 시설물의 재난대비 관리 통제 기능을 한단계 높이는데 속도를 낼 필요가 있다"며 "홍수조절 통제를 자동화하는 하천과 댐 관리체계의 스마트화 등 SOC 디지털화에 박차를 가해달라"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또 "재난경고가 적기에 전달되지 못해 제때 대피하지 못하고 피해가 발생한 사례들이 있다"며 "재난대응 실효성을 높이는 대응체계도 더욱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