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 바로가기

06.15 (토)

SH '지분적립형' 주택 이름은 '연리지홈'…2028년까지 1만7,000호 공급

댓글 첫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주소복사가 완료되었습니다
한국일보

SH공사의 지분적립형 주택 브랜드 '연리지홈'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크게 보실 수 있습니다>


‘8ㆍ4 주택공급대책’에서 서울시가 3040세대를 위한 새로운 공공주택 모델로 제시한 ‘지분적립형 분양주택’에 '연리지홈’이라는 이름이 붙는다고 서울주택도시공사(SH공사)가 12일 밝혔다.

지분적립형 주택 이름인 ‘연리지(連理枝)’는 ‘뿌리가 다른 나뭇가지가 엉켜 마치 한 나무처럼 자라는 현상’을 뜻하는 말이다. 지분적립형 주택은 분양받은 사람이 분양가의 20∼40%를 내고 취득한 다음 20∼30년에 걸쳐 지분을 추가로 매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자본금이 부족한 30∼40대의 실수요를 충족하면서 소위 ‘로또 분양’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이 서울시와 SH공사의 기대다.

시와 공사는 저이용 유휴 부지 개발이나 공공시설 복합화 사업 등을 통해 신규 주택 공급 대상지를 확보해 2028년까지 지분적립형 주택 약 1만7,000호를 지을 예정이다.

SH공사는 이와 함께 50∼60대 장년층을 위한 사업 모델인 연금형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누리재'로 부르기로 했다. 연금형 소규모주택정비사업은 자율주택정비사업에 참여하는 노후 주택 소유자가 원할 경우 기존 주택을 공공에 매각한 뒤 공공임대주택에 살면서 매각 대금에 이자를 더한 돈을 10∼30년간 연금으로 수령하는 모델이다.

공사 시뮬레이션에서는 자산평가액 2억7,700만원인 집의 소유주가 30년 연금형을 택하면 공공임대주택 보증금과 월 임대료를 선공제한 후 연금으로 최대 66만원을 수령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사는 또 1인 기업과 예비 창업자를 위한 ‘청년 도전숙’의 새 브랜드를 ‘에이블랩’으로 명명했다. 도전숙은 1인 기업 및 예비 창업자를 위한 주택이다. 2014년 공급을 시작해 현재 563호가 있다.

김세용 SH공사 사장은 “20대부터 60대까지 생애주기별로 주택 공급을 한다는 의미가 있다”며 “20∼30대에는 청신호 주택에 거주하고 에이블랩에서 창업의 꿈을 펼치고, 30∼40대에는 연리지홈에서 내 집 마련의 꿈을 이루며, 50∼60대에는 누리재에서 안정된 노후 생활을 영위하는 서울을 희망해본다”고 말했다.

박민식 기자 bemyself@hankookilbo.com


기사가 속한 카테고리는 언론사가 분류합니다.
언론사는 한 기사를 두 개 이상의 카테고리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